금융



경기불안 탓? 저축률 17년 만에 최고

소비성향 위축으로 지난해 우리나라의 저축률이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작년 총저축률은 35.8%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올랐다. 외환위기 여파가 작용한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총저축률은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쓸 수 있는 소득 가운데 안 쓰고 남은 돈의 비율를 의미한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에서 최종소비지출을 뺀 값(총저축액)을 GNDI로 나눠 산출한다.

연도별로는 1988년 41.7%를 고점으로 내리막을 걸었다. 2000년 이후에는 30% 초반대에 머물렀으나 최근 들어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저축률이 상승했다는 것은 소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밑돌았다는 얘기가 된다. 지난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전년에 비해 4.5% 늘어난 반면 최종소비지출은 이보다 낮은 4.1% 증가했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소비지출 비중은 1990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하락 추세를 보이면서 총저축률이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 주체별로 보면 가계와 기업을 더한 민간총저축률은 28.0%, 정부총저축률은 7.8%로 잠정 집계됐다.

가계의 총저축률은 8.3%로 전년과 유사했고 기업은 19.7%로 0.5%포인트 하락했다. 정부총저축률은 2011년(8.0%)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문제는 민간의 소득이 좀처럼 불어나지 않는데 있다. 살림살이가 팍팍하다보니 소비나 투자를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정부의 총처분가능소득은 376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5% 늘어난 반면 가계는 929조6000억원, 기업은 326조2000억원으로 각각 4.0%와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체 총처분가능소득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2.0%에서 2016년 23.1%로 확대됐다. 가계 비중은 57.2%에서 56.9%로 줄었고 기업 비중은 20.8%에서 20.0%로 축소됐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637조4000억원으로 2015년보다 4.7% 늘었다"며 "최종소비지출은 이보다 낮은 4.1% 증가해 아직 경기가 살아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