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위기 맞은 국산車, '반등' 위한 대안 시급해

'미국 FTA·일-EU 협정'…업계에 악재로 작용 가능성도
노사 임금협상 등도 변수…파업 이어지면 직격탄 받을 듯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자동차 업계가 부진에 빠진 시장상황을 반등시키기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하지만 당장 묘수가 마땅치 않아 보인다. 중국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여파 등으로 상반기 저조한 판매 실적을 보인 완성차 업계가 실적 만회를 노리고 있지만, 대외 여건 등 환경이 여의치 않은 탓이다.


  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상반기(1~6월) 국산 차 수출량은 132만4710대로 133만5169대를 수출한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0.8% 감소했다. 지난 2009년 이후 8년 만에 최저치다. 내수 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국내 자동차 업체의 상반기 내수 판매량은 78만5297대다. 81만8115대를 판매한 2016년 상반기보다 4% 감소했다.


  수출과 내수 물량 감소는 전체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 상반기 누적 생산량은 216만2548대로 지난해 219만5843대보다 1.5% 줄었다.


  안팎에서 부진을 면치 못하는 최악의 국면에 처한 것이다. 이 것은 국내외 시장에서 소비자들을 유혹할만한 신차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데다 마케팅 등의 측면에서 경쟁업체들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격과 성능, 디자인 측면에서 경쟁력을 대폭 강화한 새로운 제품을 통해 고객들을 유인할 수 있는 전략이 시급한 상황이다. 자동차 판매 실적이 부진하지만, 문제는 국내 생산 환경이나 대외 여건이 불리하게 돌아가며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사드 여파로 상반기에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업계는 정부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잔여 사드 발사대 4기를 추가 배치를 하기로 결정하면서 중국 정부와의 마찰이 더욱 증폭,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직전인 지난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기업인 간담회에서 사드 사태로 중국 시장의 어려운 상황을 언급하며 지원을 요청했지만, 상황은 더욱 꼬여만 가는 분위기다.


  당시 간담회에서 정부와 자동차 업계는 중국 시장이 심각하다는 데 인식을 함께 하고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북한 미사일 발사라는 악재를 또다시 만나 난감한 상황이 된 것이다.


  미국 시장도 불투명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장벽이 변수다. 미국의 한미 FTA 재협상 요구는 미국이 자동차 관련 무역수지 적자 문제를 해결, 결국 미국 자동차산업에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일본과 유럽연합(EU)의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 역시 부담이다. 협정이 발효되면 일본 차는 7년 후 현행 최대 10%까지 부과된 관세가 사라진다. 결국 유럽시장에서 일본 차와 경쟁하는 한국 차는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휴가를 마친 노조와의 본격 임금협상 등도 불안 요소로 남아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노조와 사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국 파업으로 이어진다면 생산 차질은 불가피하고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판매 부진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