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주교도소 인근 등 5·18 암매장 4차조사 "추석 전 발굴"


[파이낸셜데일리=김정호 기자] 광주교도소 인근 등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들을 암매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에 대한 발굴 작업이 이르면 이달 내 이뤄진다.


  5·18기념재단은 이달 안으로 5·18 당시 암매장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에 대한 발굴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이번이 4차 발굴 조사로, 지난 2009년 3월 3차 발굴 이후 8년 만이다. 가장 먼저 광주교도소 인근 부지에서 발굴 작업을 벌인다.


  기념재단 측은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던 3공수여단 부대원이 작성한 메모에 암매장과 관련된 약도가 표시돼 있다. 교도소 바깥 쪽으로, 최근 목격자들이 증언했던 교도소 안 부지와는 다른 곳"이라며 "이 같은 새로운 자료를 찾아냈고 최근 사회적 관심이 5·18 진실규명 작업에 모아지고 있어 올해 내 발굴 예정이었던 일정을 앞당겼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유골 등이 발견되면 수사에 나설 수 있도록 검찰에 협조도 요청했다"며 "광주시의 행정적인 지원을 받아 발굴 절차가 마무리 되는대로 실행할 계획이다. 이르면 추석 전에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들이 주둔했던 곳이다. 5·18 직후 교도소 관사 뒤에서는 8구의 주검이 암매장됐다가 발견됐다. 교도소 앞 야산에서는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발견됐으며 최근 당시 교도관은 교도소 내 3곳을 암매장 장소로 지목하기도 했다.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80년 5월31일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이른바 '교도소 습격 사건'으로 민간인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돼 있다. 단순 계산으로도 17명의 신원과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재단은 광주교도소 인근 이외에 7공수여단이 주둔했던 너릿재 인근 제2수원지 상류쪽과 너릿재 인근 도롯가 등도 발굴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광주시에 협조를 요청하고 '암매장 발굴 조사'를 위한 전담 인력 지원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5·18행불자를 찾기 위한 암매장지 발굴은 지난 2009년 3차 조사를 끝으로 8년 넘게 중단된 상태다.


  광주시는 지난 1997년부터 5·18암매장 제보를 받기 시작했고 그해부터 2009년까지 모두 6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이 중 9곳에 대해 세 차례 발굴 작업이 진행됐으나 성과를 내진 못했다. 중복된 12곳과 신고 부실한 46곳은 조사하지 않았다.


  한편 광주시는 2000년 5·18단체 등이 참여한 '행방불명자 소재찾기 사실조사위원회'를 구성한 뒤 같은 해 11월 5·18행불자 130가족, 295명을 대상으로 유전자 감식을 위한 혈액을 확보해 현재 전남대 법의학교실에 보관하고 있다.


  이날 현재 시는 가족과 친지들에 의해 행방불명자로 신청한 448건(중복 포함) 중 82명을 공식 행방불명자로 인정하고 있다. 이 중 6명 만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시신을 찾았다.


  현재까지는 11공수부대가 5월23일 광주 동구 주남마을에서 미니버스에 총격을 가해 시민들을 학살한 뒤 버스에서 살아남은 시민 2명을 산으로 끌고 가 총살한 뒤 암매장한 사실만 확인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