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네이버, 뉴스편집 손떼고 추가 대책 내놔도 논란... 왜?

네이버 "일괄적 아웃링크 도입은 어렵다…언론사와 개별 협의"
네이버 '아웃링크 전환시 전재료 지급 없다' 입장
김경진 의원 "유망상권의 건물주가 세입자 쫒아내는 격"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네이버가 '뉴스 댓글 조작' 사태로 정치권에 뭇매를 맞고 있는 댓글 추가 대책을 내놓았다. 


  뉴스로 시작하는 모바일 첫 화면을 오는 3분기까지 검색 위주로 재편하고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도 첫 화면에서 삭제하는 한편, '아웃링크' 방식을 적극 도입해 언론사가 댓글 작성 방식 등을 스스로 결정하도록 한다는 게 주요 골자이다. 


  하지만 아웃링크를 원하는 언론사는 단 1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난데다, 언론사가 편집하는 뉴스판을 따로 만들겠다고 밝히고 있어 이번 댓글 대책이 '생색내기 내지는 미봉책에 불과하다' '전면적인 아웃링크와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야당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다. 


  네이버가 어떤 형태로든 뉴스서비스를 포기하지 않는 한, 언론사는 네이버의 종속적 뉴스 유통 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아웃링크로 전환 시 3000만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 플랫폼에서 사실상 퇴출되는 것과 다름없어 이를 받아들이는 언론사가 극히 드문 상황인 만큼 아웃링크 적극 도입 방침 역시 구두선에 그칠 공산에 크다고 보는 것이다. 


  한명숙 네이버 대표는 9일 오전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역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네이버 뉴스에 구글식 아웃링크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아웃링크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며 "전재료 바탕의 비즈니스 계약, 아웃링크 도입에 대한 언론사들의 엇갈리는 의견 등으로 일괄적인 아웃링크 도입은 어렵지만, 언론사와의 개별 협의를 통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구글은 모바일 검색앱이나 웹에서 뉴스를 모아 배열하는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가 기사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의 웹페이지로 연결된다. 다만 트래픽이 언론사로 연결되는 만큼, 구글은 이에 대한 전재료를 언론사에 제공하지 않고 있다.


  네이버도 앞서 언론사들을 대상으로 아웃링크 전환에 대한 의견을 묻는 조사에서 '아웃링크 전환시 전재료를 지급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로 인해 네이버가 조사한 아웃링크 전환에 찬성한 언론사는 고작 1곳 뿐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아웃링크 전환 시 언론사 홈페이지 트래픽 증가로 광고매출이 오르더라도, 그 규모가 전재료보다 많을 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서포트 리더는 "뉴스서비스를 제휴하고 있는 언론사 중 70%가 회신을 줬는데 절반은 유보 입장을 밝혔고, 찬성은 1개 매체였다"며 "나머지 언론사는 모두 인링크를 원했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민주평화당 김경진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은 "여전히 미진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3000만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의 플랫폼 영향력 유지되는 상황에서 일부 언론사만 아웃링크를 선택하게 되면 트래픽과 광고 수익에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며 "즉 유망상권의 건물주가 세입자를 쫒아내는 격이다. 따라서 구글과 같은 전면 아웃링크 방식을 도입해야 미디어 독점을 분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네이버가 3분기 이후 뉴스판이나 뉴스피드판을 신설해 광고 수익과 독자 데이터를 제공한다지만, 네이버의 미디어 장악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 밖에 없고 사실상 아웃링크를 채택할 언론사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