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내년 상반기 '모바일 현금카드' 개시

은행 예금계좌 기반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 추진
신용카드 편중 고비용 구조 바꿔 '사회적 비용 절감'
이용 편의·선택의 폭 넓혀…서비스 개선 견인 효과도

[파이낸셜데일리=송지수 기자] 내년 상반기중 은행 계좌기반의 모바일 현금카드 서비스가 개시된다. 은행권이 공동으로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을 위해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주로 신용카드에 편중된 국내 지급결제 시장의 구조를 고비용에서 저비용으로 바꿔 사회적 비용을 경감하고, 결제 방식 다양화로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차원에서다.


금융정보화 사업 추진을 위해 금융기관과 유관기관 등 28곳으로 구성된 협의체인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금정추)는 31일 은행 예금계좌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 직불서비스 도입을 추진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협의회 의장은 한국은행 윤면식 부총재가 맡고 있다.


이번 서비스 추진은 전세계적으로 지급서비스 채널이 모바일화되고 있는 가운데 현금카드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뤄졌다. 국내 지급서비스 시장에서는 신용카드 서비스의 압도적인 우위로 현금카드의 경쟁력이 떨어진 상황이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카드별 이용비중(금액기준)에서 신용카드가 80.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크카드(19.5%), 선불카드(0.1%) 등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현금카드 이용비중은 0%에 불과했다. 사실상 현금카드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거의 없는 셈이다. 현금카드의 가맹점 수도 지난해말 기준 12만3000개로 신용카드 가맹점(250만개)의 약 5% 수준에 불과했다.


신용카드의 편중으로 지급서비스 시장의 고비용 구조는 고착화됐다. 신용카드의 경우 인프라 유지·관리 비용에 고객 신용평가, 연체시 대손처리, 카드매출전표 관리 등의 업무로 추가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가맹점과 신용카드사간 네트워크 업무를 VAN사가 대행하는 시스템이다보니 수수료 등의 부담이 가맹점에 전가되는 문제점도 발생했다.


결국 신용카드의 과도한 이용이 이어지면 지급결제과정에서의 비효율이 발생하고, 사회적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는게 한은 측 설명이다.


이병목 한은 금융결제국 전자금융기획팀장은 "이번 서비스 도입은 수수료 인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를 국가 경제적인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라며 "그동안 현금카드의 경우 모바일화가 안 돼 편의성도 떨어지고, 인센티브가 없어 실적이 미미했는데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서비스가 도입되면 가맹점과 소비자가 어떠한 은행 예금계좌를 갖고 있든지 모바일을 통한 현금카드 결제가 가능해진다. 가맹점과 소비자가 QR코드 인식 등을 통한 통신(App-to-App)으로 결제 정보를 교환해 계좌에서 대금이 인출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가맹점에서 앱을 통해 이용자가 구매하려는 상품금액을 입력하면 QR코드가 만들어지고, 소비자가 본인의 앱으로 이 QR코드를 스캔한 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결제가 완료된다.


상대적으로 저비용의 모바일 직불서비스가 활성화되면 사회적 비용도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금카드는 은행 예금계좌에서 구매대금이 즉시 출금되는 구조이고, 플랫폼 중간에 낀 사업자가 없기 때문에 수수료 절감이 가능하다는 분석에서다. 현재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는 평균 2.1%(지난해 기준) 수준인데, 현금카드의 경우 0.3~1.0% 수준으로 낮게 형성돼있다.


한은 관계자는 "모바일 직불서비스는 모바일 현금카드 식으로 추진되기 때문에 수수료가 인하될 여지가 있을 것"이라며 "은행권 사업 계획에 따라 향후 결정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금정추는 올 하반기중 관련 기술표준과 플랫폼인 앱(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달 실무그룹(WG)을 구성하고 세부 기술사항을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모바일 직불서비스는 내년 상반기중 선보여질 예정이다. 금정추는 모바일 직불서비스 기술표준이 만들어지면 정부와 일부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소상공인 페이등의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도 보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