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S&P, 韓 국가신용등급 안정적...'AA' 유지해

신용등급전망 '안정적' 평가


[파이낸셜데일리=김유미 기자]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AA'는 S&P에서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S&P는 2일(현지 시각)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과 전망을 현재 수준인 AA, 안정적으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S&P는 지난 2016년 8월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한 뒤 현 등급을 유지해오고 있다.

S&P는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 유지 결정 배경으로 ▲남북 및 북미 관계 개선에 따른 한반도 긴장 완화 ▲견조한 경제 성장세▲건전한 대외지표와 재정 ▲중앙은행의 독립적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도 향상 등을 꼽았다.


세부별로 보면 S&P는 "지난 6개월 동안 남북 및 북미 관계 개선에 따라 한반도 내 긴장이 완화되는 추세"라며 "잠재적인 북한의 안보 위협 가능성은 여전히 등급 상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북한이 상당한 수준의 경제자유화를 진전시킬 경우 지정학적 위험도 감소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한국의 성장세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견조하며 특정 산업이나 수출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다각화돼 있다"며 단기적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평균 2.7%로 전망했다.


또 "2010년 이후 나타난 원화 강세에도 한국 교역부문의 고부가가치화 반영으로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미중 무역 분쟁은 한국 경제의 단기 성장을 다소 둔화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봤다.


국가신용등급의 기반인 대외건전성 측면에서는 "국내은행 부문이 순대외채권자로 전환됐으며 은행권의 총외채의 평균만기도 길어지고 단기외채 비중도 감소했다"며 "외환시장의 깊이(depth)와 환율의 유연성이 한국경제의 강력한 대외 버퍼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우리나라의 평균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GDP 대비 3.5% 수준으로 전망했다.


재정건전성 측면에서는 "2000년 이후 통합재정수지 흑자를 기록했고 국가채무도 증가 추세이나 여전히 안정적 수준을 유지한다"며 "사회적 혜택 증진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한국의 재정흑자는 감소할 전망이지만 세수증가로 인해 적자로 전환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비금융공기업 부문에 대한 재정지원 가능성은 정부의 재정건전성에 대한 제약 요인으로 지목했다.


북한정권 붕괴시 한국 정부가 부담해야 할 상당 수준의 통일비용은 한국신용의 가장 큰 취약점으로 꼽았다.


통화정책과 관련해선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와 기대인플레이션 관리 성공은 중앙은행의 독립적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도 향상에 기여했다"며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는 통화정책의 제약 요인이나 주택담보 대출의 고정금리 전환으로 위험성은 다소 완화됐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으로 부채 증가 속도가 둔화될 전망"이라고 언급했다.


S&P는 향후 한국경제의 예상 밖 빠른 성장은 신용등급 상향 요인이 될 것으로 봤다.


반면 2년 내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지 않겠지만 북한 지정학적 긴장 확대로 한국의 경제·재정·대외지표에 영향을 미칠 경우 등급을 끌어내릴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국제 신평사에 대북 진전상항과 한국 경제 동향을 적시 제공하는 식으로 대외신인도 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한편 무디스(Moody’s)는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세 번째로 높은 'Aa2', 피치(Fitch)는 네 번째로 높은 'AA-'로 유지·발표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