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속 터지는 5G'에 팔 걷은 정부·업계, 시행착오 줄일까?

정부, 5G 수신 가능범위 조기 확대...2022년 전국망
"빠르면 6월부터 빌딩 내 5G 기지국 장치 구축"
업계 "연내 빌딩 내부, 지하철서 원활한 사용은 글쎄"


[파이낸셜데일리=이정수 기자] 정부와 이통 3사, 제조사가 5G 기지국 조기 구축과 5G 품질 안정화에 팔을 걷어붙였다. 5G 커버리지와 끊김 현상, 속도 저하 등으로 '속 터지는 5G', '오지 체험', '유료 베타테스터'라는 불만이 잇따른 데 따른 조치다. 서비스 시작 후 20일 만에 민관이 나서며 5G 음영지역에서 끊김 현상 등 민원은 조만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기에 5G 서비스 수신 가능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에도 불구하고 건물 내부나 지하철에서 5G를 원활히 사용하기 위한 커버리지 문제는 계속 제기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가 계획하는 전국망 구축 시점은 2022년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3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이동통신사 및 단말·장비 제조사가 참여하는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태스크포스팀(TF)' 회의를 열고, 5G 서비스 조기 안정화를 위한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골자는 5G 수신 가능 범위를 조기에 확대하는 것이다. 정부와 이통 3사는 연내 기지국 장치를 현재보다 2배 많은 23만대 구축키로 했다.


지난 22일을 기준으로 5G 기지국은 서울·수도권, 지방 인구 밀집지역에 5만512개, 11만751대의 장치가 구축됐다.


TF는 85개 시의 동 단위 주요지역까지 5G 서비스 수신 가능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통 3사는 수도권 1~9호선 지하철 내에서도 5G 서비스를 위해 관련 설비를 공동 구축·활용하기로 합의했다.


또 공항, 대형 쇼핑몰 등 전국 120여개 빌딩 내에서 5G 인빌딩 장비를 이용한 5G망 구축 및 서비스 제공 방안을 협의하고, 빠르면 6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추진키로 했다.


특히 소비자 불만이 많았던 5G 음영지역에서 4G 전환 시 일부 서비스 끊김, 통화권 이탈 등 현상은 보완패치 보급과 SW 업데이트를 통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최적화 과정 중에 나타난 LTE속도 저하 문제는 일시적 현상으로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 등을 통해 해결했다.


앞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지난 22일 기자들과 만나 5G 네트워크 품질 안정 시기에 대해 "최대한 빨리 하겠다"며 "두 달 안에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연내에 인구 밀도가 높은 동 단위 지역까지 기지국을 구축하더라도 지하철과 빌딩 내부 등은 단시간 내에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이통사의 공통된 목소리다.


이통사 관계자는 "5G 전파는 직진성이 강해 외부 기지국 설치와 별도로 인빌딩 5G 중계기를 건물 안에 분산해 구축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말하는 2022년보다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연내에 지하철과 건물 내부에서도 5G를 원활하게 사용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현재는 야외형 장비를 중심으로 5G 기지국 장치가 구축돼 있는 상태"라며 "지하철의 경우 6월부터 시작하더라도 1~9호선까지 모두 5G 기지국 장치를 구축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새벽 시간에 공사를 진행해야 하는 만큼 지하철 내 기지국 구축이 호락호락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2022년까지 전국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은 정부의 정책 방향과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며 "이통사 역시 5G망 투자를 선행하겠지만 이용자 증가 속도와 산업 변화, 5G 생태계 변화 등과 궤를 맞출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