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홍콩발 美‧中 갈등에 日변수까지....한국 반도체 영향은

업계, '홍콩보안법' 주시하지만 직접적 영향권 아니라고 판단
무협‧증권업계도 "삼성·SK하이닉스 반도체 수출 차질 없을 것"
삼성·SK하이닉스, 미중 갈등 속 '역대급 불확실성'이 문제


[파이낸셜데일리=강철규 기자] 미국의 대(對) 화웨이 수출 제재에 이어 홍콩 특별지위 박탈 경고로 미·중 갈등이 악화하는 가운데 최근엔 일본이 우리 정부의 수출 규제 철회 요청에 응답하지 않는 등 대외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반도체 기업들이 업계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은 최근 미·중 갈등의 뇌관으로 급부상한 '홍콩 보안법'(홍콩 국가보안법) 이슈와 일본 정부 동향에 주시하면서도 업계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제품들이 중국과 미국을 통해 무역할 때 홍콩이 중간 기지로 역할하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들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반도체는 간접적인 영향만 있고 직접적인 영향권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가 시행됐을 때 생산라인이 멈추는 것 아니냐고 했는데, 그런 일은 실제 발생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또다른 관계자는 "반도체 업계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현상은 아직은 없다"며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른다. 사태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조심스러워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에 부여한 특별지위를 박탈하는 절차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1992년 제정한 홍콩정책법에 따라 홍콩에 무역, 관세 등의 분야에서 혜택을 주고 있다.


이 같은 발표가 나오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홍콩에 대한 반도체 수출에 차질을 빚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아울러 관세, 물류비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홍콩은 중국, 미국, 베트남에 이은 한국의 네 번째 수출 국가(수출 규모 319억달러)인데다 한국의 대(對) 홍콩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70%(223억달러, 약 27조6000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29일 '홍콩보안법 관련 미중 갈등과 우리 수출 영향' 보고서에서 "반도체는 기본적으로 무관세이며 직수출에 애로가 없다"며 "홍콩 중계무역을 제재하면 심천으로 직수출 또는 대만에서 중국 대륙으로 우회 수출할 수도 있고 이 경우는 물류비용이 조금 증가하는 정도지 큰 문제는 없다"고 전망했다.


증권업계 분석도 이와 비슷하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는 무관세 품목이고 홍콩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가는 물량도 거의 없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며 "홍콩의 수입업자들이 홍콩을 떠나는 상황이 벌어진다 하더라도, 이미 심천 등으로 직수출하는 루트가 형성돼 있어 큰 문제는 없다"고 내다봤다.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로 관세가 올라도 반도체는 피해가 없고, 중국 본토로 직접 수출하면 된다는 얘기다.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미국과 중국, G2의 갈등 심화"라고 이 연구원은 지적했다. 그는 "G2 갈등 심화로 인한 수요와 안전재고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전통적인 수요-공급의 다이내믹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또 다른 불안감을 낳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계도 올들어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것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역대급 불확실성을 만났다"면서 "기업이 경영하기에는 좋지 않은 환경이다. 관련 부서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업계관계자도 "작년부터 시작된 미·중 리스크가 큰 영향을 주고 있다"며 "정상적인 공급환경이 아니라 리스크가 있다. 불확실성이란 리스크를 감안해 움직이는게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일본으로부터 수출규제 철회 여부와 관련한 입장을 밝혀달라고 설정한 31일까지 뚜렷한 답변을 받지 못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본이 한국을 상대로 취한 3대 품목 수출 규제와 '백색 국가'(수출 절차 우대국) 명단인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과 관련해 지난 5월 말까지 입장을 밝혀줄 것을 일본에 통보했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