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급 호우에 맞서는 농협의 '총력 지원'

  • 등록 2025.07.22 15:24:53
  • 댓글 0
크게보기

재해자금 2천억 원 긴급 편성, 농작물 방제, 복구인력 투입 등 지원 총력
농협의 총력 지원으로 농업인 일상회복에 앞장

 

기록적인 폭우, 피해도 기록적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지난 7월 16일부터 시작된 극한 호우가 전국을 강타했다. 산청 794mm, 합천 699mm, 하동 622mm, 광양 618mm 등 지난 나흘간 대한민국은 유례없는 폭우에 휩싸였다.

 

이번 집중호우는 역대 최다 강수량 기록을 단숨에 갈아치웠고, 특히 서산에서는 극한호우 특보 발효기준인 1시간 누적 강수량 50mm을 훌쩍 넘긴 시간당 100mm 이상의 극단적인 강수량도 관측됐다.

 

그 결과,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속출했다. 사망자 18명, 실종자 9명, 임시 대피자 1만 4천여 명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벼와 논콩 등 농작물 2만 8천ha가 침수되고 닭 143만 마리 등 가축 약 160만 마리가 폐사하는 등 농업부문의 피해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는 멈췄지만, 피해지역 농업인의 마음엔 여전히 폭우의 그림자가 드리워 있다.

 

사전 대비, 이미 5월부터 시작 

 

 농협은 이번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선제 대응에 나섰다. 농협중앙회 부회장이 주재하고 범농협 주요 부서장 30인이 참석하는 `범농협 재해대책위원회`를 지난 5월과 7월 두 차례 개최하여 여름철 재해에 대비한 각 부문별 대응상황을 점검하였다. 이어 6월에는 금년 3월 산불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장마철 산사태 대비 행동요령과 조치사항을 추가로 안내하였다.

 

 범농협 재해대책위원회 개최 결과에 따라 전국 농·축협, 시군지부와 지역본부 함께 약 3주간 총 11만8,595곳의 재해 우려지역을 집중 점검하였으며, 재해복구용 장비 5,000대를 사전 정비하였다. 또한, 7월 초에는‘농업인 집중호우 대비요령’22만 부를 제작해 전국 농·축협에 배포하고, 7월 10일부터는 전국 마을 단위로 현장 예찰 활동을 강화하였다.

 

 예상보다 더 심각했던 ‘극한 호우’

 

당초 기상청은 누적 강수량 최대 200mm 수준의 집중호우를 예보했지만, 이례적인 정체전선 형성과 저기압으로 인하여 상황은 누적 강수량 400mm 이상의 극한 호우로 악화되었다. 농협은 기상예보 변경 직후, 전국 농·축협 조합장 1,110명에게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고, 재해대책상황실을 즉각 가동하여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다.

 

그러나 시간당 100mm 이상의 살인적인 폭우 앞에서는 그 어떤 사전 대비도 한계가 있었다. 이번 사태는 누구도 경험하지 못했던 ‘기후 재난’이었다.

 

 

 현장 최전선에 선 농협, 범농협 임원진 총출동 현장 지원 

 

 극한 호우는 7월 16일 충남 지역부터 시작됐다. 예산·당진·홍성 지역에 무자비한 강우로 제방이 무너지고, 마을 전체가 고립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폭우로 소실된 일부 축사에서는 가축이 물살을 가르고 도망쳤으며, 미처 가축을 구조하지 못한 농업인들은 발을 구르며 안타까워했다.

 

 농협은 생수, 생필품, 재해구호키트 등 약 5,000만 원 상당의 구호물자를 즉시 피해지역에 긴급 지원했다. 아울러, 양수기 200대, 축사 보강용 톱밥 1,000톤, 세탁차·밥차·이재민용 텐트 등 구호물자를 투입하여 긴급 복구에 나섰다.

 

 7월 18일 호우전선이 광주·경남으로 남하하며 충남은 일시적으로 소강상태가 되었다. 농협은 피해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범농협 집행간부 및 임원진을 급파하였다. 7월 20일 기준으로 범농협 임원진은 전국 60여회 이상 현장 방문하여 피해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였다.

 

 19일에는 산청과 합천 등 경남에 폭우가 내려 주택이 종잇장처럼 무너지고, 시설물이 떠내려갔으며, 나무는 뿌리째 뽑혀 널브러졌다. 이후에 산사태가 연달아 일어나면서 사상 초유의 전 군민 대피령과 국가소방총동원령이 내려졌다. 이에 농협중앙회 강호동 회장은 예정된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아산·예산·산청·합천 등 주요 피해 지역을 직접 찾아 현장을 점검했다.

 

 

 2,000억원 규모 재해자금 등 총력 대응 

 

 피해 지역을 모두 돌아본 강호동 회장은 현장에서 피해 복구를 위한 재해자금 2,000억 원을 긴급 편성할 것을 지시했으며, ▲병해충 방제 ▲전사적인 일손돕기 ▲농작물 복구지원 등 범농협 차원의 종합지원대책을 꼼꼼히 챙겼다.

 

이와 함께 농협은 피해지역 조합원에게 긴급생활안정자금을 세대당 3천만 원 까지 무이자로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집중호우피해시군 관내 조합원이며, 9월 30일까지 언제든 접수 가능하다. 이외에도 ▲카드대금 청구 유예 ▲특별재난지역 ATM 기기 금융수수료 면제 등 폭넓은 금융 지원책도 함께 시행한다.

 

아직 피해규모가 확정되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농협은 농작물 피해 복구를 위한 실질적인 복구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피해 농업인에게 가장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지원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강호동 회장은 "갑작스러운 집중호우로 삶의 터전을 잃고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농업인과 이재민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며, “피해 농업인들께서 영농활동에 차질이 없도록 신속히 지원할 예정이며,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실질적인 복구지원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12만 임직원, 수해 복구 현장으로 

 

수해를 입은 농업인들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놀란 마음을 진정시키고, 쓰러진 농작물을 일으켜 줄 따뜻한 손길이다. 이에 농협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응답하고 있다. 지난 20일부터 범농협 12만 임직원은 만사 제쳐두고, 수해 복구현장으로 달려가고 있다. 지금 수해복구 현장에서 흘리는 농협 직원의 구슬땀은 그 어느 때 보다 값질 것이다.

송지수 fdaily@kakao.com
Copyright @2024 Fdaily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 (138-733) 서울 송파구 신천동 11-9 한신오피스텔 1017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서울,가00345, 2010.10.11 | 창간 발행인 강신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Copyright ⓒ 2025 FDAILY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fdaily.co.kr for more information
파이낸셜데일리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