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산하 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이 15일 발표한 '서울 신혼부분의 주거실태는?'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 5년 이하 서울 신혼부부의 거주주택 점유형태는 전세가 63.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자가 21.4%, 무상(부모님댁, 사택, 관사 등) 8.1%, 월세(반전세 포함) 7.0% 순이었다.
전세 거주자의 전세 보증금은 1~2억원 사이가 49.3%로 가장 많았다. 1억원 미만(35.4%), 2~3억원(11.7%), 3~4억원(2.4%) 등이 뒤를 이었다. 평균 금액은 1억4000만원이었다.
자가 거주자의 주택 가격은 2~3억원 사이가 44.5%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금액은 2억7000만원이었다. 보증부 월세 거주자의 보증금은 평균 7500만원, 월세는 평균 32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세 보증금 인상 시 5가구 중 3가구(62.8%)는 '인상요구 수준을 보고 계속 거주할지 판단하겠다'고 응답했다. 수용 가능한 금액은 1000~2000만원이 31.4%로 가장 많았다.
24.2%는 '인상 금액과 상관없이 다른 전세로 이사하겠다'고 응답했다.
한편 서울 신혼부부의 평균 주거면적은 72.7㎡였다. 이는 전국 평균 80.1㎡, 수도권 평균 76.5㎡보다 작은 것이다.
거주주택 유형은 아파트·주상복합이 44.6%로 가장 많았으며 다세대·연립주택 36.7%, 단독·다가구주택 16.4%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