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 당국이 8일 지하철 4호선 열차 운행 중단 사고와 관련해 긴급 대책회의를 연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사회재난대응과가 주재하는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갖는다.
이 회의에서는 열차 고장 원인 분석과 재발 방지를 위한 합동 정밀조사 계획을 수립한다.
운행 중 비상정차 시 승객 대피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해서도 포괄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안전처 관계자는 "10시에 진행될 회의 결과를 토대로 즉각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6일 퇴근길 발생한 지하철 4호선 열차 사고의 원인으로 '전동차 노후화'가 지목됐다.
하지만 서울메트로는 노후 전동차 안전사고에 대비해 정기점검을 해온 터라 검사의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사고 차량은 1994년 3월 현대정공이 제작한 것으로 운행한 지 23년이 됐다. 문제를 일으킨 부품은 고속도차단기로 열차가 납품된 후 1997년에 단 한 차례만 교체됐다.
외형상 이상이 없다고 판단해 부품 사용연한을 넘겨 19년째 그대로 사용돼 온 것이다. 일본에서는 해당 부품 사용연한을 15년으로 정해 교체한다.
또 사고 당시 안내 방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승객 800여명은 스스로 비상코크를 작동시켜 문을 열고 터널로 빠져나왔다. 탈출 과정에서 17명의 경상자도 발생했다.
서울메트로 측은 전날 브리핑을 열어 "장기간 사용한 고속도차단기 부품의 절연 파괴로 열차 운행이 중단되고 객실 내 대피 안내방송도 나오지 않았다"면서도 "사고 바로 전날인 5일에 검사했지만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었다.
서울메트로는 오는 6월까지 현대정공이 제작한 1, 4호선 전동차 32대의 고속도차단기 320개를 전량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새로 교체할 부품은 전문검사기관과 제작사에 의뢰해 절연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