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서울역 7017프로젝트)이 완료되면 일정 수준의 자활프로그램을 수료한 노숙인들을 공원화된 공간을 관리하는 정원사 등으로 채용키로 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서울역 주변 노숙인들을 대상으로 재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이를 통해 충분한 자활의지가 있는 노숙인들을 2017년 상반기 준공되는 서울역고가 보행길 운영인력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자치구, 관련 NGO 등과 연계해 녹지관리, 인문학 등 재활프로그램을 올해 상반기부터 운영한다.
재활프로그램을 성실히 수료하고 자활의지가 있는 노숙인에 대해서는 정원사, 안내 및 경비인력 등으로 채용해 자활을 유도할 계획이다.
최광빈 푸른도시국장은 "정원이나 농작물 관리를 활용한 재활프로그램은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장점이 있어 외국 선진도시에서 많이 추진된다"며 "서울역고가도 상하부에 다양한 녹지공간이 조성되는만큼, 교육과정을 통해 자활의지가 검증된 노숙인이라면 채용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계획은 서울시가 지난해 9월 개최한 '2015 함께서울 정책박람회'에서 최종 채택된 시민제안이 시발점이다.
당시 시민제안은 '재활의지가 있는 노숙인을 서울역고가 관리인력으로 고용하자'는 내용이었다.
서울역 고가가 공원화되면 일대 노숙인이 몰려들어 갖가지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는 일부 비판을 정면으로 돌파한 셈이어서 성공여부가 관심을 모은다.
서울시의 방침에 대해 시민사회 진영은 즉각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노숙인을 흉물시키하는 사회 일각의 인식을 개선시키는 것은 물론 노숙인의 자활에도 적잖은 보탬이 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노숙인이 기본적인 인권 문제 뿐만 아니라 생명까지 지킬 수 있는 가장 실효성 있는 방법은 노숙인이 경제활동을 하도록 돕는 것"이라며 "새로운 일자리를 마련해 주고 이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이기 때문에 서울시의 정책을 적극 환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