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 후 호르몬 치료를 받는 여성의 우울증 발생 위험이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는 여성보다 되레 2.2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폐경 여성의 안면홍조·우울증 등 갱년기 장애를 줄이기 위해 행해지는 호르몬 대체요법(HRT)이 정서적·감정적 측면에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20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고려대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도훈 교수팀이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년) 원자료를 토대로 폐경 여성 2286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
김 교수팀은 폐경 여성(평균 연령 56세)을 대면 인터뷰해 이들의 운동량·영양 상태·소득·우울증 여부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HRT를 받는 폐경 여성은 15.9%가 의사로부터 우울증 진단을 받았다. HRT를 받지 않는 여성의 우울증 진단율은 7.3%에 그쳤다.
HRT를 받는 여성의 26%는' 병원에서 우울증 진단을 받지 않았지만 2주 이상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HRT를 받지 않은 여성의 우울감 경험률은 19.3%였다.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도 호르몬 치료를 받는 여성이 1.4배 높았다.
폐경 뒤 HRT를 받는 여성은 22.6%가 '자살을 생각해 본 적 있다'고 답변해 HRT를 받지 않는 여성(16.5%)보다 빈번했다.
자살 생각 비율은 폐경 뒤 HRT 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HRT를 받지 않은 여성에 비해 HRT 기간이 각각 5년 이하, 5∼10년, 10년 이상인 폐경 여성의 자살 생각 비율은 1.2배, 1.4배, 2배였다.
특히 폐경 뒤 10년 이상 HRT를 받은 여성은 3명중 1명꼴로 자살을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장기간HRT를 받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자살 예방 교육·홍보가 시급함을 시사한다.
현재 국내 폐경 여성 가운데 상당수가 갱년기 증상 완화를 위해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 단독 또는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을 함께 주입하는 HRT를 받는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중 프로게스테론이 우울감 등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프로게스테론의 부작용으로 우울증·자살 충동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HRT를 받은 여성이 만성 질환을 오래 앓을수록 우울증·자살 충동 비율이 높았다"며 "폐경 뒤 HRT를 오래 받은 여성일수록 안면홍조·식은 땀·심한 감정 기복 등 갱년기 증상을 장기간 겪는 것에 지쳐 우울증·자살 생각에 빠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기분장애학회의 공식 학회지인 '기분장애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근호에 소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