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포천시 근로자종합복지관이 실상 시청 별관과 상공회의소 사무실로 사용돼 지역 노동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뉴시스 2014년 7월17일보도>
25일 민주노총포천시대표자협의회에 따르면 협의회 이명원 사무차장은 국민신문고에 “포천시 근로자종합복지관이 설립 목적에 맞지 않게 운영되고 있다”고 고충민원을 제기했다.
이씨는 “근로자종합복지관은 근로자의 생활안전 및 복지증진을 목적으로 관련 법률과 조례에 의거 운영되는데, 포천시 기업경제과가 왜 복지관에 입주해 있는지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실제로 근로자복지회관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복지관 1, 2층에는 포천시청 실무부서인 기업경제과(265㎡)와 일자리센터(80㎡)가 입주해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4층 대부분의 공간도 포천상공회의소(116㎡)가 임대 형식으로 사용 중이고, 이 밖에 여성새로일하기센터(70㎡)와 육아정보나눔터, 교육장, 스포츠센터, 전산교육장 등이 각층에 들어서 있다.
노동자 단체들이 사무실로 많은 공간을 쓰는 도내 다른 지역 근로자복지회관과는 상황이 판이하다.
포천시는 근로자종합복지관 2년 전 개관 당시에도 노동단체의 입주 요청은 거부하고, 상공회의소는 설계당시부터 공간을 내주기로 해 비판을 샀다.
당시 포천지역 단일 사업장 11개 노조로 구성된 민주노총 포천시협의회의 조용성 의장은 “설계당시부터 노동단체의 사무공간 배치를 계획하지 않아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이에 포천시는 “기업경제과는 근로자종합복지관 관리를 위해 부득이 입주한 것”이라며 “근로자종합복지관은 근로자들의 경제 및 사회활동 참여 기회 확대와 복지증진, 건전한 여가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등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천시근로자종합복지관은 근로들의 교육과 여가활동 공간으로 국비 등을 지원받아 46억5000만원을 들여 신읍동 2459㎡에 지상 4층, 건축면적 486㎡로 건립돼 지난 2014년 7월 개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