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4년 반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이 줄어들었다는 의미로 그만큼 국민의 지갑이 얇아졌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5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실질 GNI는 전분기보다 0.1% 하락했다. 실질 GNI가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2010년 4분기(-1.9%) 이후 4년 반만에 처음이다.
GNI는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얻은 임금과 이자, 배당 소득 등을 포함한 것이다. 실질 GNI는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 손익을 더하고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순수 소득인 '국외순수취요소 소득'을 반영해 산출한다. 여기에서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은 제외된다.
2분기 실질 GNI가 쪼그라든 것은 국제유가 하락으로 교역 조건이 나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 벌어들인 순수 소득이 더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이는 국내 기업의 해외 투자에 따른 이자·배당 소득이 감소해 영향을 미쳤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기업들이 주로 1분기에 배당 소득을 가져가면서 2분기에는 국외순수취요소 소득이 크게 줄었다는 분석이다. 2분기 실질 국외순수취요소 소득은 1조3000억원으로 1분기 5조6000억원에서 4조3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가뭄의 여파도 컸다. 메르스로 소비가 얼어붙고 가뭄으로 농림어업이 큰 타격을 입은데다 수출까지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실질 GDP가 전기 대비 0.3% 증가에 그쳤기 때문이다.
다만 2분기 실질 GNI가 배당소득 감소 등 일시적인 영향에 흔들린 만큼 우리 경제의 기초 체력이 고갈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그동안 내외수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기 때문에 총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이라며 "향후에도 확실하게 경제 회복을 이끌어갈 단초도 부족하고 최근들어 경제 불안요인 등이 발생하고 있어 하반기에도 회복 정도가 미약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