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소의 변신과 미래 모빌리티 충전소의 가능성

  • 등록 2023.11.04 08:50:46
  • 댓글 0
크게보기

[파이낸셜데일리 김필수] 전기차의 활성화와 함께 더불어 성장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충전 인프라다. 아직은 전기차 대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충전소를 활용한 수익모델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머지않은 미래에 수익모델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2~3년 사이에 국내 충전기 제작과 운용 등을 진행한 중소기업은 대부분이 대기업에 인수되거나 대규모 투자를 받았다.

 

전기차 보급 대수가 늘면서 실과 바늘의 관계인 충전 인프라를 활용한 민간 비즈니스 모델이 앞으로 부각될 수 있는 만큼 자본과 인력이 충분한 대기업 중심의 운영 시스템이 진행되고 있다. 전기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동차 자체도 중요하지만, 충전 인프라를 얼마나 쉽게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가가 성공의 관건이다.

 

  작년 말 국내 충전기 보급 대수는 거의 20만기에 가깝고 올해 말까지 누적 대수 30만기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무작정의 충전기 보급이 중요하기보다는 실제로 운용되는 것에 집중적으로 필요한 충전기를 설치하는가가 관건이다.

 

그동안 무작정의 충전기를 보급한 부분도 있어서 상대적으로 급속충전기 수는 적어서 현재 정부에서 공공 급속충전기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급속충전기는 고속도로 휴게소나 관광단지 등에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완속충전기는 상용건물 주차장이나 아파트 등 주거지에 설치하는 등 환경 조건을 고려한 설치는 상당히 의미가 있다. 더불어 원래의 충전요금에 대한 정책의 방향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한다.

 

하나는 심야용 완속 충전의 활성화이다. 아파트 등 주거지의 경우 가장 좋은 충전 방법은 심야용 완속 충전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완속 충전을 하면 배터리 수명에도 좋고 심야용 전기는 주로 잉여용 전력인 만큼 가장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소비자 입장에서도 가장 훌륭한 충전 방법은 심야용 완속 충전을 활용하여 남아있는 전기를 애용하는 것이 충전 전기비를 절약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저녁때 퇴근하여 전기차 충전기에 꽂고 아침에 출근하면서 충전기를 빼는 방법이 최적의 방법이라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방법은 급속충전기의 활용 방법이다. 정부는 급속충전 요금을 1kWh당 340원 이상으로 책정한 이유도 바로 비즈니스 모델의 활성화라는 측면에 있다. 점차 비용이 올라가고 더욱 빠른 급속충전기일수록 더욱 고가로 책정한 이유는 급속충전의 목적이 연계 충전과 비상 충전에 있기 때문이다.

 

연계 충전은 장거리 운전 시 중간에서 보충 충전하는 방식이고 비상 충전은 평상시 미리 충전하지 못한 전기차가 비용이 고가이어도 활용할 수 있게 만든 비즈니스 모델이라 보면 좋을 것이다. 즉 투트랙 모드로 충전요금을 활용하게 한다는 것이다. 

 

  머지않아 충전 인프라의 성공 여부는 일반 주유소의 충전기 전환 여부가 포인트일 것이다. 아직은 일반 길거리에서 주유를 대신하여 충전을 본격화한 경우를 보지 못하고 있지만, 분위기만 조성되고 돈벌이가 된다면 언제든지 진입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만큼 분위기 조성과 정부 차원에서 민간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각종 혜택이 중요하다. 정부의 전기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의 성공은 분명히 민간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 여부가 관건이다. 정부나 지자체는 후원하고 민간 차원에서 활성화가 주된 성공 요소라는 뜻이다.

 

  현재 전국 주유소 약 13,000개 중 수익모델의 악화로 인하여 하루에 하나씩 주유소가 문을 닫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약 2.5% 내외로 자동차 부품사의 이익과 유사할 정도로 악화되어 있는 상황이다. 물론 LPG 충전소도 유사하여 심각한 경영상의 악화가 진행 중에 있다.

 

그만큼 주유소 등이 주변에 즐비할 정도로 규제 없이 범람하여 더욱 악화를 구축한다. 여기에 내연기관차는 앞으로 더욱 줄어들 것이고, 차량의 기술개발로 연비도 좋아졌으며, 자동차의 일일 운행 거리도 줄어들면서 더욱 주유소 운영 악화가 커졌다.

 

  더욱 큰 문제는 내연기관차가 앞으로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를 대신하는 전기차의 대수가 크게 증가하는 만큼 앞으로 주유기를 대신하여 충전기로 교체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물론 아직은 약하지만, 분명히 충전전기비로 수익을 내는 모델로의 업그레이드가 예상된다.

 

정부에서는 주유기와 충전기의 이격거리를 안전의 전제조건에서 현실적으로 줄여주는 규제샌드박스를 진행 중에 있고 또한 의무 녹지 면적을 충전시설로 활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제도적 개선을 고민하고 있다. 일반 주유소를 실질적인 민간 충전소로 비즈니스화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여 주는 것이다. 

 

  아직 고민은 많은 상황이다. 열악한 환경으로 치 닿고 있는 주유소를 하루빨리 충전소 등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과 지원책이 필요하다. 물론 기업적인 측면에서 주유소 내에 편의점이나 카페는 물론이고 더욱 다양한 융합적 모델을 함께 하여 비즈니스 중심의 시너지를 구축하는 부분도 당연히 해야 할 과제이다.

 

지금은 과도기이다. 그만큼 변화는 크지만, 미리부터 반걸음 앞서서 남들보다 조금은 빠르게 변신하는 것이 미래 먹거리를 미리 챙기는 중요한 꼭지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김필수 f-daily@naver.com
Copyright @2024 Fdaily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 (138-733) 서울 송파구 신천동 11-9 한신오피스텔 1017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서울,가00345, 2010.10.11 | 창간 발행인 강신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Copyright ⓒ 2024 FDAILY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fdaily.co.kr for more information
파이낸셜데일리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