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박미화 기자] 영천경찰서에서는 최근 관공서, 정당 관계자 등을 사칭한 사기 범죄가 잇따르면서 피해 예방활동에 나선다고 밝혔다.
사기 수법은 대부분 소상공인 업체에 전화해 해당업소 취급 품목을 주문하면서, 다른 업체 물품을 함께 주문해주면 추후 일괄 결제하겠다고 속여 공범이 다른 물품 판매업자인 것처럼 대금을 받는 방식이다.
전국에서 유사한 수법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4월 군 간부를 사칭한 사기범이 대량주문 후 군부대 직인을 위조한 공문을 제시하면서 전투식량 대리 구매를 요구하여 1,000만 원 이상의 피해가 발생했다.
5월에는 영화제작사 스태프라고 밝히며 식당에 단체 예약하면서 고가의 주류를 대리 구매 요청하였으나 나타나지 않았고, 같은달 정당 당직자를 사칭하여 모텔 객실 15개를 예약하면서 인근 식당의 식사 대금 선결제 요청하였으나, 이를 의심한 업주가 112에 신고하면서 피해를 예방한 사례도 있었다.
이에 경찰은 관내 영세 식당 등 업소에 직접 방문 및 ‘찾아가는 치안드림센터*’를 활용하여 대면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찾아가는 치안드림센터: 경찰(범예・여청・수사・교통)과 유관기관(지자체・소방・보건소)이 지역축제장, 전통시장, 노인정 등 치안 사각지대에 직접 찾아가 치안 서비스를 제공했다.
소상공인연합회, 한국외식업중앙회 영천시지부에 방문하여 소속 회원들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홍보를 당부했다.
또한, 경찰 소관 협업단체・지역 맘카페 등 SNS를 이용한 홍보를 병행하고 있다.
영천경찰서 관계자는 “관공서 등에서 대금 대납을 요구하는 경우는 없다.”고 강조하며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으면 해당 기관에 문의하거나 피해 발생 즉시 112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