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간(2009~2014년 7월16일) 국내에서 발생한 헬기 사고 유형을 분석해 보니 대부분이 민간이 소유한 헬기로 나타났다.
뉴시스가 20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헬기 사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동안 회전익항공기(헬기) 사고는 총 15건으로 이 중 10건(66.6%)이 민간 소속 헬기였다.
사고 항공기 소속별로 산림청·소방방재청 등 국가기관 5건, 민간(항공기사용사업자 9건, 개인 1건) 소유는 10건으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사망자 22명, 부상자 14명 등 총 3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착륙사고(창운항공·2명 부상)까지 합치면 피해상황은 더 늘어난다.
국토부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군(軍)과 경찰 보유헬기를 제외한 국내 등록 헬기는 모두 183대다. 국가기관인 산림청·소방방재청 헬기가 74대, 나머지(109대)는 민간 헬기로 집계됐다.
등록 헬기 대수는 2008년 156대에서 5년 만에 17.3%가 증가했다. 민간 보유 헬기는 2004년 68대에서 9년만에 109대로 60.3% 늘었다. 민간 보유 헬기는 농약살포용 등 사업용과 기업체·병원·언론사 등의 비사업용으로 구분된다.
최근 5년간 국적 항공기 사고는 총 23건이 발생했는 데, 헬기 사고가 전체 항공사고의 70%(16건)를 차지했다.
현재 대형항공기 426대, 헬기·소형기 183대가 각각 운영(군·경찰 보유헬기 제외)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헬기사고가 잦은 편이다.
한편 항공철도사고조사위는 최근 광주 도심에서 발생한 소방헬기 추락 사고를 포함 ▲지난해 5월 안동 산불진화 복귀 중 추락(산림청 소속·2명 사망) ▲11월 강남 삼성동 A아파트 충돌(LG전자 소유·2명 사망) 등 ▲12월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착륙 사고(창운항공·2명 부상) 등 총 4건에 대해 헬기사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항공철도사고조사위가 광주 헬기 추락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블랙박스를 수거했지만 훼손이 심해 판독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블랙박스는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30분 이상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지만, 헬기가 추락하면서 충격과 화염을 견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조사위는 블랙박스를 헬리콥터 제작사(프랑스)로 보내 복원을 시도하기로 했다. 하지만 100% 복원은 불투명한 상태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고 당시 헬기에서 블랙박스를 회수해 데이터 추출을 시도했으나, 훼손 정도가 심해 판독이 불가능한 상태"라며 "복원 시도를 위해 제작사인 프랑스로 보내겠지만 장담은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블랙박스 분석은 보통 6개월이 걸리지만, 이번 헬기사고 규명은 적어도 1년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관계자는 "최종 분석보고서가 나오더라도 적어도 1년은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블랙박스 분석 결과가 나오더라도 외부에는 공개하지 않는다.
조사위는 블랙박스 분석결과 공개 여부에 대해 "분석 결과는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게 원칙"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결과보고서에도 사고 상황을 포함한 블랙박스 내용 중 일부만 공개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