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7명은 직원 개개인이 자율적으로 본인의 출근시간을 정하는 제도인 '자율출근제' 시행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출근제'는 오후 1시 이전에 자율 출근해 하루 8시간 이상 근무하는 제도다.
13일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318명을 대상으로 귀하는 출근시간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율출근제 시행을 원하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 67.2%가 '예'라고 답했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사원급'이 69.8%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리급(67.5%) ▲과장급(67.1%) ▲부장급 이상(50.9%) 순으로 직급이 낮을수록 자율출근제를 더 많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이유로는 '시간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 같아서(64.8%·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컨디션에 맞춰 근무할 수 있어서(51.7%) ▲교통체증 시간을 피할 수 있어서(36.7%) ▲업무 몰입도가 증가할 것 같아서(36.1%) ▲나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33.9%)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자율출근제로 생기는 개인 시간에는 '운동(46%·복수응답)'을 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늦잠 등 휴식(43.8%) ▲병원 등 볼일(36.1%) ▲문화생활(35.1%) ▲외국어 공부(32.8%) ▲업무관련 공부(23.7%) ▲가족과의 시간(23.1%) 등의 순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자율출근제를 실시하는 기업에 재직 중인 응답자(70명) 중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출퇴근을 하는 경우는 58.6%였다. 또 41.4%는 규정된 근무시간을 초과해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직장인의 25.5%는 지난해에 비해 출근시간이 평균 25분 빨라졌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는 ▲회사에서 권장해서(36.6%·복수응답) ▲교통체증을 피하기 위해서(29.8%) ▲윗사람들이 빨리 출근해서(25.6%) ▲아침 일찍 회의가 많아서(13.4%)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