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16일 이같은 내용의 의견청취안을 서울시의회에 제출했다.
현재 지하철과 간·지선버스 요금은 1050원이다. 서울시 인상안이 적용되면 각각 1300원, 1200원으로 오르게 된다.
광역버스는 450원을 올려 1850원에서 2300원으로, 순환버스 850→1100원(250원↑), 심야버스 1850→2200원(350원↑), 마을버스 750→850원(100원↑) 인상을 추진한다.
지하철 거리 추가운임은 현재 40㎞ 초과 시 10㎞당 100원에서 50㎞ 초과 시 8㎞당 100원으로 조정된다.
시의 의견청취안이 본회의를 통과해 송부되면 버스정책시민위원회·물가대책심의위원회를 거쳐 최종 요금조정 폭, 시행시기 등을 결정해 6월말 인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요금 조정은 2012년 2월 버스·지하철 기본요금 150원 인상 이후 3년 4개월 만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의 현재 대중교통 요금은 다른 지자체나 해외도시와 비교하더라도 낮은 수준이어서 시민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요금 현실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안정적인 대중교통 운영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지하철 508원, 간·지선버스 296원의 인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시민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74%인 원가보전율(운송원가 대비 요금 수준)을 85% 수준으로 개선하는 선에서 조정폭을 정하고, 나머지 부족한 부분은 운송업계 자구노력과 시 재정투입을 통해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하철 250원, 버스 150원이 인상되면 운송원가 보전율은 지하철 68.8→82.6%, 버스 78.6→88.8%로 상승하게 된다.
이른 시간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의 요금 부담을 덜어주고 출근시간대 승객 분산도 유도하고자 '조조할인제'를 도입한다.
오전 6시30분 이전 카드를 태그한 승객의 기본요금 20%를 할인해 주는 내용이다. 조조할인 적용 시 지하철은 1040원, 버스는 960원이 된다.
수도권 지하철과 서울 버스, 경기 광역버스에 한해 우선 시행될 예정이며 향후 경기·인천 시내버스 등으로 확대 검토한다.
어린이·청소년 요금은 동결한다. 단 어린이는 현금 할증을 폐지, 교통카드·현금 동일한 요금을 부과하고 청소년은 버스 이용 시 신분 확인 등으로 인한 운행 지연,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현금에 한해 성인요금을 적용한다.
지난해 서울 지하철의 운영적자는 4245억원, 버스는 3092억원이다.
특히 고령화사회 가속화로 지하철 무임승차 부담이 증가, 지난해 손실비용은 2800억원에 달했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로 인해 매년 발생하고 있는 약 7000억원의 환승손실금 역시 적자에 한 몫 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2018년까지 지하철 안전 분야 재투자 등에 총 1조9075억원이 필요한 것도 부담으로 적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요금조정 이후 부대사업 활성화, 인력운영 효율화, 업무 개선 등 노력을 기울여 2018년까지 수입증대 3770억원, 비용절감 1239억원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버스업계는 2018년까지 ▲버스 내·외부 광고 1496억원 ▲차량대여 등 부대사업으로 104억원 등 수익 1600억원을 창출하고 ▲운전직 인건비 483억원 ▲표준운송원가 산정방식 개선으로 300억원 ▲연료절감장치 장착 등으로 연료비 542억원 등 총 1409억원을 절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2018년까지 엘리베이터 설치, 화장실 확충 등 지하철 서비스 개선에 4015억원을, 버스 서비스 개선에는 297억원을 투입한다.
김경호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그동안 시민 부담을 고려해 요금 조정을 미뤄왔으나 안전과 서비스 분야 재투자를 위해서는 억제만이 해답은 아니다"며 "심도 깊은 논의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조정을 추진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