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사용연수 30년 이상 충적층이나 동공발생 주변에 있는 노후 하수관로 2720㎞를 2019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사하고 정비한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시내 하수관로는 총 1만392㎞. 이중 3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는 5000㎞ 정도이며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는 932㎞에 이른다.
시는 연 300㎞의 하수관로를 조사하고는 있지만 불량관로 판정기준만 마련돼 있고 하수관로 노후도에 대한 기준, 항목, 방법 등 명확한 분석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판단이다.
먼저 '노후·불량 하수관로 종합실태 조사 및 기본설계' 용역을 발주, 우선 올 한해 1315㎞를 조사하고 정비한다.
중랑·난지·탄천·서남 4개 하수처리구역으로 구분해 조사·정비를 시행한다.
주요내용은 ▲노후·불량 하수관로 조사 ▲하수도계획 추진방향 설정을 위한 종합조사 ▲하수관로 정비계획 및 기본설계 ▲하수도 유지관리계획 수립 ▲하수도관리 전산시스템 보완 등이다.
세부 시행방향은 조사부문과 설계부문으로 나눠 진행한다.
우선 조사부문에서는 CC(폐쇄회로)TV, 육안조사 등 기존조사 방법대로 진행하되, 일부 필요한 곳에 대해서는 GPR(지하투과레이더) 탐사, 내시경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고 정밀조사를 위해 하수도 최신기술 적용도 검토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단순 관로조사 뿐 아니라 노후 하수관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도로함몰의 이상 징후를 확인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민간 하수도 전문가로 구성된 하수관로 상태 평가단, 노후도 평가항목 및 평가방법 기준마련을 위한 용역단, 서울시와 25개 자치구 등 민간과 공공이 함께 협업체계를 유지해 진행한다.
하수악취와 수질오염 등을 개선하기 위해 오접, 수질 및 유량, 악취 등도 포함시켜 종합 조사한다.
설계부문에서는 관로별 노후에 따라 개량과 유지관리 부문으로 구분해 설계한다. 종합조사 결과는 하수도정비기본계획과 연계해 하수도 사업 방향 재검토 후 내년까지 기본설계를 마칠 예정이다.
시는 노후불량 하수관로(내·외부) 현장조사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하수관로 상태평가 자문위원단'을 구성해서 운영할 예정이다.
자문단은 관련분야 종사자, 설계자, 학계, 연구원 등 10년 이상의 경력자 위주로 구성하고 ▲조사방법에 대한 자문·협업 ▲조사결과 관로 특이사항 발생 시 논의 ▲노후관로 평가 ▲관로개선기준 설정 및 정비 방향 결정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시는 노후 하수관로 중 가장 시급하게 정비해야 할 50년 이상 된 하수관 932㎞를 2018년까지 우선적으로 교체하기 위해 올해 확보된 시비 1840억원과 국비 100억원을 활용해 정비한다.
시 관계자는 "올해 노후 하수관로를 정비하기 위해 국비 1000억원을 요청했으나 정부에서는 관로 조사비 명목으로 50억원을 포함해 총 150억원만 지원했다"며 "중앙정부와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국비확보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