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24일 민주노총 총파업에 참여하고자 벌인 연가투쟁에 대해 정부가 엄중 문책 방침을 내놓자 반발하고 나섰다.
전교조는 이날 오후 1시 서울 중구 시청 앞 광장에서 전국교사결의대회를 열고 "박근혜 정권은 전교조의 투쟁을 무력화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공격을 퍼붓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교사들의 정당한 연가투쟁과 노동자 파업에 대한 탄압이야말로 국민에 대한 도전"이라며 "이를 주도하는 정권은 반드시 역사의 엄중한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교사와 공무원에 대해 일체의 의사 표현과 집단적 행위를 금지한다고 한다"며 "교사와 공무원은 노동조합 간판을 다는 일 빼고 아무 것도 하지 말라더니 이제 아예 전교조의 간판도 내리라고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교조는 "국민의 노후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며 "국가가 사적 보험회사를 위해 공무원연금을 개악하고 공적연금을 훼손하는 것은 더 이상 국가이기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제라도 정부는 공무원을 세금도둑으로 내몰며 국민들을 이간질하는 행태를 중단하고 공적연금을 강화해 국민의 노후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공론화에 함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연가투쟁에는 약 1000명의 교사들이 참석했다. 전교조는 현재 법외노조로 분류돼있어 참가자 대부분이 학교측에 연차휴가를 내고 총파업대오에 합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정부는 이날 연가투쟁에 참가한 교사들에게 징계와 사법처리 조치를 취할 것을 예고한 바 있다.
서울의 한 중학교 교사는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정부에서 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어느 선까지인지는 이의가 있을 수 있겠지만 선생님들도 정치적 자유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여기 편한 마음을 와있는 선생님은 한 분도 없을 것"이라며 "학생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하려고 많이 고민하고 신경 쓴다"고 전했다.
경남에서 올라왔다는 중학교 교사는 "교장 선생님이 연가를 내는 것을 받아주지 않으려고 했지만 일단 신청을 하고 오늘 이 자리에 왔다"며 "연가는 노동자로서 당연한 권리"라고 주장했다.
전교조는 ▲공무원연금 개악 저지·공적연금 강화 ▲4·16참사 진상 규명·책임자 처벌 ▲전교조 법외노조화 저지·노동기본권 쟁취 ▲노동시장구조개악 저지·최저임금 1만원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전국교사결의대회를 마친 후 이날 오후 3시 서울광장에서 예정된 민주노총 총파업 결의대회 및 행진과 오후 9시 투쟁문화제에 동참한다. 오후 11시부터는 여의도 한강둔치에서 노숙 농성을 벌인다.
다음날인 25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전국 조합원이 모여 광화문, 시청, 종로, 홍대, 서울역, 지하철역 등 서울 일대에서 대국민 선전전 및 도심행진을 벌이고 오후 3시부터 서울광장에서 공적연금 강화 범국민대회, 4·16 범국민대회 등을 벌일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