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위안부 문제 보상의 성격으로 10억엔을 출연하기로 한데 반발해 시민단체들이 10억엔 국민기금 모금운동을 진행하기로 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시민단체들은 14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일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 발족식을 개최했다.
시민단체 383개와 시민 335명으로 구성된 전국행동은 지난해 12월28일 발표된 한일 외교장관 위안부 합의에 대해 '무효'라며 재협상을 위한 전국행동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일환으로 10억엔(103억원 상당) 모금운동을 시작한다. 전국행동은 "일본 정부의 기금 출연을 거부하고, 전 세계인들로부터 10억엔을 모아 재단을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전국행동은 "일본은 국가 차원의 조직적 범죄행위를 인정하지 않고, 10억엔을 출연한다면서도 배상금이 아니라고 했다. 추모사업 등 재발방지를 위한 후속조치 약속도 없었다"고 꼬집었다.
기금 마련은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의 제안으로 추진됐다. 김 할머니는 "우리 문제에 대해 협상을 한다면 우리 얘기를 먼저 들었어야 마땅하다"며 "어떻게 해결하면 좋겠냐고 묻고 난 후 협상을 해야 하는데, 양국이 속닥거리더니 해결됐다고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윤미향 정대협 대표는 "(위안부 문제의)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재단설립이 목표"라며 "재단을 통해 한일합의에 빠진 역사교육문제도 진실을 추구하기 위해 연구자들과 진상조사를 벌이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명운동 등을 통한 무효 여론 결집 ▲국회에 협상 무효 및 재협상 약속 받기 ▲문화제와 동시다발 수요시위 등 거리행동과 국제사회와 연대한 ▲유엔 등 국제사회에 긴급호소서한 발송 ▲전세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시위 및 캠페인 요청 ▲아시아연대회의 긴급 대표자회의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전국행동은 발족식 이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까지 행진해 재협상을 요구하는 내용 등이 담긴 요구서를 외교부에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