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기자] S-OIL은 2022년 4분기 매출액은 10조 5,940억원, 영업실적은 1,575억원 영업적자 속에 순이익은 2,313억원을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이와 관련 S-OIL은 매출액은 유가 하락으로 인한 판매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4.8%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견조한 마진이 지속되고 있으나, 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 등 일회성 요인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로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급변동한 가운데, 일관성 있는 환위험 관리 정책의 운영을 통해 4분기 영업적자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은 2,313억원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S-OIL은 2022년 연간 매출액은 42조 4,460억원을, 연간 영업이익은 3조 4,081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2022년 연간 매출액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제품 판매단가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4.6% 상승했다.
이와 함께 2022년 영업이익은 정제 설비 부족 및 지정학적 공급 차질 속에서 석유수요 회복에 따른 높은 국제 정제마진과 윤활부문의 수익 개선 및 효율적인 시설 운영에 힘입어 전년 대비 59.2% 상승한 3조 4,081억원을 기록했다.

사업부문 별로는 정유부문은 2조 3,465억원, 윤활부문은 1조 1,10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반면 석유화학부문은 489억원 적자를 기록했으며 2022년 연간 순이익은 2조 1,068억원을 달성했다.
2022년 순이익은 회사의 지속성장과 한국의 에너지 전환 지원을 위해 추진중인 9조원 규모의 석유화학 프로젝트인 ‘샤힌 프로젝트’와 주주들에 대한 배당 및 재무건전성 강화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S-OIL은 중국의 리오프닝 진전에 따른 중국 내수 수요 반등 전망으로, 내수 소비 물량 증가로 인한 수출 여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단기적으로는 수요 증가보다 설비 순증설이 하회하여 타이트한 수급상황이 지속되다가 2025년 이후부터는 신규 정제설비의 순증설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공급 부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유럽연합의 러시아 정유제품 금수조치가 2월 5일 발효 예정으로 러시아는 일부 디젤 수출처 재편과 더불어 정유제품 생산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정유제품 수요 전망에 대해 중국 내수 및 글로벌 항공유 수요를 중심으로 글로벌 석유 수요는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 중이어서 리오프닝 수요 회복으로 인해 글로벌 석유수요는 2024년까지 팬데믹 이전 평년을 웃도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한편, S-OIL은 “업계 선도 경쟁력을 갖춘 샤힌 프로젝트를 통한 석유화학사업 확장으로 당사의 수익 창출 능력의 새로운 도약 가능 및 2022년 11월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 후, 본격적인 EPC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