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 정부가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도입 시기를 내년 2월보다 앞당기는 방안을 추진한다. 필요 시 40만4000명분 이상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옵션 계약도 체결했다.
류근혁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병관리청이 2월부터 경구용 치료제를 도입한다고 밝혔는데 조금 더 당겨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임상시험이나 인허가 문제를 조기 종료하고 외국 사례를 모니터링해 2월보다 더 당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로선 얼마나 당길 수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최소한 다른 나라들이 경구용 치료제를 쓸 때 우리나라도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금까지 미국 MSD(머크) 사의 몰누피라비르 20만명분, 화이자 사의 팍스로비드 7만명분 등 27만명분의 치료제 계약을 체결했다. 나머지 13만4000명분 구매도 논의 중으로, 총 40만4000명분 치료제를 확보했다.
류 2차관은 이날 치료제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신속하게 추가 구매할 수 있는 '옵션 계약'도 체결했다고 밝혔다.
그는 "치료제 40만4000명분을 확보했거나 계약을 진행 중이고, 추가로 옵션 계약도 있다. 상황을 지켜보면서 약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언제든지 옵션을 행사해 충분한 양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옵션 계약 물량에 대해서는 "정확한 물량이 나와 있지 않고 원하는 만큼 추가구매 가능하다. 옵션을 얼마나 행사할지는 당시 상황과 제약사와의 협상이 중요하다"며 말을 아꼈다.
복지부는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물량은 계약상 특정되지 않았으며 필요 시 사전협의하여 결정할 부분"이라며 "이외의 상세한 세부적인 사항은 계약이 진행되고 있는 부분이 있어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11월 계약이 완료되면 추가로 설명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향후 경구용 치료제의 사용 대상은 논의가 필요할 전망이다. 그는 "머크사와 화이자사에서 임상시험을 하고 있어서 효능이나 안전성을 검토해 대상을 어떻게 결정할지 논의해야 한다"며 "현재 단계에서 어떤 대상군에 투여할지는 결정된 바 없다. 고위험군 위주로 쓸 가능성이 있긴 한데, 이 역시 전문가와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