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4명 가까이는 저도수 소주를 접하면서 음주량이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연맹은 지난 7월 20대 이상 성인 남녀 270명(남 130명, 여 1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설문조사 결과 23%(62명)는 저도수 소주를 마시면서 음주량이 '약간 늘었다'고 답했고, 14.4%(39명)는 '많이 늘었다'고 응답했다.
특히 여성은 42%가 저도수 소주를 마신 뒤 음주량이 늘어 남성(34%)보다 저도수 소주 열풍에 따른 음주량 증가가 더 뚜렷했다.
저도수 소주가 인기를 끌면서 술 소비자의 절반 이상은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흔히 받은 영향은 '(술값) 지출이 늘었다'(14.1%)였다. 이어 '다음날 숙취로 건강상의 문제가 있었다'(12.2%), '음주 시간이 길어졌다'(8.2%), '술자리가 많아졌다'(5.9%) 순이었다.
정지연 사무총장은 "소주가 순해지면서 음주량이 증가하는 부작용이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며 "저도수 소주의 유행으로 소비자의 술값 부담도 확실히 늘어났다"고 말했다.
저도수 소주는 소주의 주 원료인 주정이 일반소주에 비해 덜 들어간다. 때문에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저도수 소주의 가격이 일반소주보다 저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술 소비자는 가격 문제에 대해선 그리 예민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의 32.2%만이 '저도수 소주 가격이 (일반소주보다) 싸야 한다'고 응답했다. 39.3%는 '(가격은) 상관없다'는 의견이었고 '저도수 소주에 별도의 첨가물이 들어 있어 싸지 않아도 된다'는 응답도 16.3%에 달했다.
저도수 소주에 대해 만족도도 높은 편이었다. 만족하는 이유론 '술이지만 맛이 있어서'(38.9%), '마시기 편하면서 술처럼 취해서'(20.4%), '알코올 냄새가 나지 않아서'(14.1%) 등을 꼽았다. 불만족 이유론 '달아서'(23.3%), '음료수 같아서'(14.1%), '취하지 않아서'(6.3%) 등이 거론됐다.
그러나 저도수 소주를 앞으로도 계속 이용하겠다는 소비자는 27.4%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