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조치로 울산 산업계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16일 울산시와 무소속 김종훈(울산 동구) 국회의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대(對)중국 수출규모는 80억 달러로 지역 전체 수출액(652억 달러)의 약 12% 수준이다.
울산의 중국 수출 규모는 지난 2013년 143억 달러에서 2014년 122억 달러, 2015년 81억 달러로 해마다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가 본격화하고 있어 올해 울산의 대중 수출액 규모는 더욱 줄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종훈 의원이 울산시로부터 제출받은 '사드 보복조치 이후 울산지역 경제현황' 관련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은 데 이어 올 뉴 투싼 리콜 차량 10만대 재리콜, 쏘나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 출시 연기 등 현대자동차에 대한 제재를 취하고 있다.
현대차는 오는 8월부터 중국 충칭에 125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자동차공장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
동반 진출한 1차 협력사 121곳과 부품업체 417곳도 중국의 사드 보복 조치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울산지역의 또 다른 주력업종인 석유화학 분야에서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재조사에 착수한 데 이어, SK이노베이션의 중국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공장 건설계획을 지연시키는 등 경제제재 조치를 하고 있다.
아울러 3월들어 중국 관광객 1000여 명이 울산 방문을 취소하는 등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가 울산지역 경제 전체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울산시는 자동차산업의 경우 각종 규제와 소비자 불매운동 확산 등으로 인한 판매 감소와 중국에 진출한 국내기업들의 어려움을 우려하고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석유화학 분야의 경우 중국에 중간재를 납품하는 특성상 무역보복이 당장 현실화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신규 무역규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울산시는 전망했다.
실제 울산지역의 한 유아용품 수출업체는 중국 측의 물품 전수조사로 통관이 지연되는 피해를 보았다.
또 다른 업체는 수년간 거래하던 중국기업이 사드 논란 이후 별다른 통보없이 수개월째 결제를 지연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 화장품 수출업체는 위생검사 지연과 중국 소비자들의 반한 감정으로 인해 중국수출을 잠정 중단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울산항 오일허브 1단계(북항) 상부 저장사업도 지난 1월 중국 시노마트사가 지분 25% 투자방침을 철회하면서 오는 6월 착공 차질이 예상된다.
김종훈 의원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평가나 대책수립없이 사드배치가 추진되고 있는 만큼 울산시도 중앙부처에 사드배치 재검토와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