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증권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매파적 성향 강해졌다"


[파이낸셜데일리=김유미 기자]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매파적 성향이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1일 공개된 7월(7월 1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 종전보다 완화적 통화정책의 부작용을 강조한 발언들이 다수 포함됐다는 이유에서다.


NH선물 박성우 연구원은 2일 "전일 공개된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는 '완화적 통화정책 재조명이 필요', '내년 말 마이너스 GDP갭 해소 추정', '가계부채의 지속적 상승은 완화정책 기조유지에 부담 요인' 등 이전에 비해 매파적 성향이 강화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다만 수출과 설비투자 호조가 내수로 파급되지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한 우려가 공존하고 있다"며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있어 민간소비 회복 여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B증권 김상훈 연구원은 "7월 금통위 의사록에서는 통화완화 기조 조정 등 매파적인 내용이 있었지만 수출 확대의 내수 파급 확인 등의 의견도 있어 아직은 신중한 스탠스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증권 이슬비 연구원은 "7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예상대로 동결했지만 향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시그널을 단계적으로 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내년 상반기 기준금리 인상에 앞서 한은의 매파적 시그널이 단계적으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7월 금통위에서 A 금통위원은 "장기간 지속된 완화적 기조로 인해 과도하게 급증한 부채가 고령화 대비에 더해 소비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또한 중기적 자연이자율에 비해 낮은 자본비용으로 자원배분이 비효율적으로 이뤄져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자본축적보다는 단기적 수익추구 목적으로 자금이 과도하게 쏠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자금배분은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생산설비 확충을 넘어 레버리지를 통해 자산가격 평가차익 추구에 집중되고 있어 금융불안 우려를 유발하고 있고, 가계소비도 유동성 제약의 완화 효과보다는 부채 상환부담에 따른 소비위축 효과가 이미 더 커진 것으로 보여 완화적 기조의 부작용이 계속 누증되고 있다"며 "이런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의 재조명이 필요한 시기로 보인다"고 말했다.


B 금통위원은 "가계부채의 지속적인 상승세는 완화적 통화기조를 유지하는데 상당한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글로벌 금융사이클 전환이 본격화되기 이전 국내 경기회복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거시건전성정책의 강화를 통해 가계부채 관련 위험을 안정화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긴절한 과제"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