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임종룡 금융위원장 "기술금융 중도 포기 없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기술금융 활성화 정책이 일회성이 아니고 중도에 포기하거나 중단되는 일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29일 오전 기술금융 관련 종사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지난 4월 중순부터 한달 간 진행된 기술금융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기술금융의 현재 상태와 개선 방향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금융연구원에서는 현재의 기술신용대출은 '무늬만 기술금융'으로 흘러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기술신용대출은 기존에 여신거래를 했던 기업의 대출을 대환하거나 연장하는 비중은 높은 반면, 정작 자금이 필요한 신생기업에게 나간 비중은 작다는 것이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주요 은행들이 별도의 리스크 모니터링, 자체 기술평가 역량 강화, 정부 연구기관 협업 등으로 진일보하는 모습을 보인다"면서도 "은행의 기술금융의 실적·역량을 평가하는 테크(TECH)평가를 개편해 은행의 기술신용대출이 자금이 필요한 기술기업에게 지원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권 관계자는 "아직 은행의 중기대출 잔액 대비 기술신용대출 잔액의 비중은 5%에 불과하다"며 "기술금융 정착을 위해서는 일선 영업점의 경험이 더욱 축적돼야 하고 기술신용평가도 정확하게 신속하게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기술금융이 과거 녹색금융의 실패 전례를 따라가지 않으려면 기술 금융 발전을 위한 로드맵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의 기술에 대한 신용평가를 내리는 TCB는 인력 충원과 절차 효율화 등으로 평가기간을 줄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TCB측 관계자는 "평가서 내 등급 오류나 초기 시행착오를 바로잡으며 체계를 갖춰가고 있다"며 "하지만 은행이 정확한 기술력 평가정보가 필요한 여신에 대해서도 비용 절감을 위해 약식 평가를 요청하고 있어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 위원장은 이같은 의견들에 대해 "앞으로 기술신용대출을 은행의 중소기업 여신시스템 내 정착시키겠다"며 "기업 단계별로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와 금융권이 의지를 갖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논의된 내용과 기술금융실태조사 결과 등을 종합해 '기술금융 현황 및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개선방안은 내달 3일 열리는 4차 금융개혁회의에서 최종 확정된 뒤 공개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