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이주열 "미 연준 금리 인상 금융시스템 불안 우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8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등의 금리 인상과 관련, "금융시스템이 불안해질 우려가 있고 실물경제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5년 한은 국제컨퍼런스' 개회사에서 "미 연준 등의 통화정책 정상화로 시장금리가 예상외로 큰 폭 상승하면 가계나 기업, 금융기관의 채무상환 부담 증가와 투자 손실 발생 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이 본격화하면 신흥국으로부터 국제 투자자금이 유출되면서 외환·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펀더멘털(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한 신흥국의 경우 해외자본 유출이 빠르게 진행되면 환율 및 시장금리가 급등하고 결국 성장과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각국이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뒤따르는 잠재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펀더멘털 강화 ▲거시건전성 정책 통한 금융안정 리스크 완화 ▲국가간 통화정책 운용 및 금융안정 협력 등을 제시했다. 

그는 "대내외 부채 규모가 큰 국가의 경우 경제주체들의 채무상환 부담 증가와 자본 유출 등으로 금리 정상화의 충격을 크게 받아 금융시스템이 불안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거시건전성정책을 통해 금융안정 리스크를 잘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저성장·저물가 기조에 맞춰 적절히 대응해야 할 것을 주문했다. 이 총재는 "통화·재정정책은 경제의 활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며 "단기적인 경기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구조개혁을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주요 선진국의 중앙은행은 정책 운용에 있어 투명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과 긴밀하게 소통해 시장의 과민반응 등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해야 한다"며 "위기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국가간 통화스왑 등 글로벌 금융안전망 확충을 위한 노력도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 국제컨퍼런스는 '글로벌 금리 정상화와 통화정책 과제'를 주제로 9일까지 이틀간 진행된다. 

이 총재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후루사와 미쓰히로 IMF 부총재와 윌리엄 화이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개발검토위원회 의장의 기조연설에 이어 4개의 논문 발표 및 토론, 종합토론 등 5개 세션이 이뤄진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