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서울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여야 의원들은 대우조선해양 부실문제의 책임문제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이에대해 홍 회장은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책임 문제를 묻는 민병두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의 질문에 "송구스럽다"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조선3사에 대한 수주가 줄면서 이런 상황이 초래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산은이 대주주로 있는 대우조선해양이 큰 손실을 입은데 대해 사전적 관리 차원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며 "대우조선해양이 기업으로 계속 나가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대동 의원(새누리당)이 부실을 알지 않았냐는 질의에 대해 "수차례 문의했지만 이미 1조2000억원의 손실이 선반영됐기 때문에 손실여부는 없을 것이란 보고를 지속적으로 받았다"며 "부실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답했다.
김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과 신학용 의원(새정치민주연합), 강기정 의원(새정치민주연합) 등은 취임당시 낙하산이 맞다면서도 결과로 보여주겠다던 홍 회장의 책임문제를 따졌다.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가능성과, 최고재무책임자(CFO)를 내보내고도 부실을 파악하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문제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다.
홍 회장은 "송구스럽다. 변명하는 것처럼 들렸다면 죄송하다"는 말을 거듭 반복했다.
그는 '대우조선해양을 통해 인사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가 발행했기 때문에 대수술이 필요하다'는 의원들의 의견에 대해서도 "동의한다. 은행이 건설사나 조선사 등 비금융회사를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인정했다.
대신 "정책적으로 취득한 회사들을 재매각할 때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재매각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이런 점이 추후에 정책적으로 고려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