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정부, 수출입은행에 1조 자본확충 추진…"한전주식 현물 출자"

이덕훈 행장-이원식 기재부 국고국장 최근 만나 현물 출자 논의

정부가 성동조선에 수조원대의 자금이 물려 심각한 위기에 빠진 수출입은행에 1조원 규모의 자본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보유 한전 주식을 현물 출자하는 방식이며, 수은의 자구노력을 조건으로 적극 검토 중이다.

4일 정부와 금융권에 따르면 이덕훈 수은 행장과 이원식 기획재정부 국고국장은 최근 만나 정부가 보유한 한전 주식을 수은에 넘겨주는 방식의 현물출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행장은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BIS)이 현재 국내 은행권 꼴찌 수준으로 빨간불이 켜진 현실을 설명하며,1조원 규모의 자본 확충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이 국장은 정부도 출자 필요성을 인정하고 출자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면서도 당장 돈이 없어 어려움이 있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현재 줄 수 있는 건 현금이 아닌 현물이며, 한국전력 주식 정도"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부는 한전 외에도 한국도로공사와 한국토지공사 등의 지분을 갖고 있다. 하지만 한전의 경우 상장사이기 때문에 현금화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전의 주주는 ▲정부 18.20% ▲산업은행 32.90% ▲국민연금 6.64% ▲씨티은행 5.53% 등으로 돼 있다.

이와 관련,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자본 확충이 시급한 수은으로서는 정부의 현물 출자라 해도 당장 현금화 할 수 있는 게 가장 유리하다"며 "그런 점에서 한전 주식만한 게 없다"고 말했다.

기재부가 이 행장이 요청한 1조원을 모두 현물 출자할 경우 보유 중인 한전주식 18.20%(1억1683만7462주) 가운데 3.2%(2072만5340여주(2일 종가 4만8250원 기준))를 넘겨줘야 한다.

수은이 주식을 넘겨받으면 한전의 3.2%의 지분을 확보하게 되는데, 정부가 수은 자체의 자구노력을 부대조건으로 달고 있어, 실제 규모는 이 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덕훈 수은 행장은 그 동안 "10년 동안 자산이 빠르게 증가한 반면 자본은 그렇지 못했다"며 "수은이 주로 지원했던 전략 산업들이 심각한 상황이라 증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재부 국고국 관계자는 "수은에서 1조원 출자를 요청해와 내용 보완을 요구한 상황"이라며 "기재부 대외경제국에서도 출자를 해줘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1조원을 다 해줄 수는 없고 수은도 나름대로 자구책을 마련해야 최종 승인을 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