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부, 브렉시트 보호무역 중장기 대응방안 마련

정부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국민투표 이후 본격화된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에 대한 중장기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기획재정부는 브렉시트 이후 보호무역주의와 저성장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중장기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정부는 대외리스크에 대한 경제안전판을 강화하고 브렉시트 이후 통상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연구용역 ▲전문가 간담회 ▲국내 관계기관간 정책협의 ▲한-EU·한-영간 협의채널 활성화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브렉시트가 우리경제와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영-EU간 협상 전개 시나리오별 글로벌 무역구조·통상환경 변화 등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

또 '국제금융발전 심의회' 등을 활용해 학계·업계 등 민간 전문가 의견을 상시 수렴하고 관계기관 합동점검반을 통해 시장 동향과 위험 요인을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한-EU간 경제대화(9월, 브뤼셀), FTA 서비스 이행위(하반기, 서울), 한-영간 국제국장회의 등의 채널을 활용해 영국·EU와의 정책협의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브렉시트 가결 이후 보호무역주의 흐름 등 세계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긴밀히 모니터링하고 보다 긴 호흡으로 중장기 대외부문 전략을 차질없이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