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금융위원회가 포용금융지원과를 신설 운영한다. 새정부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포용금융 관련 정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12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포용금융지원과는 금융위 금융소비자국 산하에 신설됐다.
상생금융지수·서민안정기금 설립 등 포용금융 관련 정책의 추진력을 높이기 위해 주무부서인 서민금융과 등을 지원하고, 금융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발굴하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금융위가 새정부 출범 후 소상공인들과 11차례의 간담회를 열어 발굴한 50개 과제 등의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금융위 소관 정책·계획과 현장 체감형 정책과제를 연계, 협력하는 업무도 맡는다.
포용금융지원과는 과장 1명과 사무관 2명, 주무관 1명 등으로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관련 분야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전문위원으로 위촉해 운영할 수 있다.
포용금융지원과는 자율기구 형태로 운영된다. 자율기구는 6개월마다 설치목적을 달성했을 경우 폐지되며, 이번 조치로 기존 자본시장전략기획과가 폐지되고, 포용금융지원과가 신설됐다.
포용금융지원과의 최대 운영기간은 내년 3월 5일까지 6개월간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4일 10조원 규모의 성실상환 소상공인 금융지원 패키지, 금리절감 3종세트를 내놓는 등 포용금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당시 "현장을 다니며 약 50건의 과제를 발굴했고, 남은 과제해결을 위해 금융위 내 전담조직을 구축해 끝까지 챙길 예정"이라며 "끝이 아닌 시작이라는 마음으로 앞으로도 현장의 많은 숙제를 안고 함께 해답을 써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