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출범과 중국의 사드 배치 보복 등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상무관 회의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상무관 회의를 개최해 지역별 수출 확대 전략과 통상현안 대응 방안을 점검·논의한다고 밝혔다.
상무관은 재외 공관에서 통상·산업·자원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현지 진출 우리 기업의 애로 해소, 주재국 정부와의 협의 및 시장 동향 파악 등을 수행한다.
각 국에 파견된 상무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상무관 회의는 2년마다에 열렸으나 최근 급변한 통상 환경과 수출 회복의 시급성을 고려해 이번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소집됐다.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각국 시 장동향 점검과 보호무역 주의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또 에너지 신산업 발굴과 신흥시장 개척 등 새로운 수출 기회 모색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23일 회의를 주재하는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올해는 연간 수출실적을 플러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무관들이 현지에서 역량을 총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또 주 장관은 "미국 신정부 정책방향에 맞춘 인프라, 조달시장 진출과 현지 투자 등을 통해 관련 기자재업체 등의 수출 동반확대를 지원해야 한다"며 "중국의 무역장벽에 대해서는 품목군별 대응 액션 플랜을 마련해 대처해야 한다"고 밝힐 예정이다.
이날 주 장관은 대(對)일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한 한류 활용 융복합 마케팅 사업 추진, EU 기금과 연계한 대(對)EU 수익사업 개발, 중동의 포스트 오일(Post-Oil) 산업정책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주 등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을 주문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 파악한 각 국의 동향과 상무관 정책 건의를 토대로 미국 신정부 출범, 중국 발(發) 리스크, 브렉시트 본격화 등 불확실한 올해의 통상 환경에 면밀히 대응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