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전자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뉴아인(대표 김도형)은 지난 19일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린 ‘2023 하반기 붐업코리아’ 행사에서 태국 TSL Asia 기업(대표 Pongsakorn Pattrathiranond)과 편두통 완화 의료기기 ‘일렉시아’ 공급 관련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붐업코리아 수출 상담회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마련한 행사이다. 이번 행사에서 뉴아인의 일렉시아는 태국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바이어 수출 상담 및 협약 체결로 인해 태국 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렉시아’는 이마 주변 삼차신경에 미세전류 자극을 가해 신경 조절 작용을 일으켜 편두통 증상을 완화 및 발병 빈도를 감소시키는 의료기기이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510K(시판 前 허가), 유럽 CE-MDD(유럽 의료기기 지침) 인증 등을 획득한 제품이다. 국내에서는 동아제약과 국내 독점 판매 공급계약을 맺어 동아제약을 통한 국내 판매는 곧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MOU 체결에 대해 뉴아인은 “태국 TSL Asia와 제휴를 하게 되어 매우 영광이고, 현지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이차전지 정밀금형 부품 및 소재 전문 업체 유진테크놀로지(여현국, 이미연 각자대표)가 23일과 24일, 양일간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공모청약을 실시해 경쟁률 1506.58대 1을 기록했다. 유진테크놀로지의 상장 주관사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이번 일반 공모청약은 전체 공모 물량 104만9482주의 25%에 해당하는 26만2371주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3억9528만3230주가 청약 접수됐고, 증거금은 약 3조3600억원을 기록했다. 일반 공모청약까지 마무리한 유진테크놀로지는 오는 11월 2일에 상장될 예정이다. 앞서 유진테크놀로지는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공모가 희망 범위(1만2800원~1만4500원) 상단가를 넘어선 1만7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한 바 있다. 유진테크놀로지의 수요예측에는 총 1865곳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했으며, 경쟁률은 914대 1을 기록했다. 특히,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의 100%(가격 미제시 포함)가 공모가 희망 범위 상단 이상으로 가격을 제시해, 유진테크놀로지의 향후 성장성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드러냈다는 설명이다. 유진테크놀로지의 주력 품목은 이차전지 노칭 공정 내 핵심 부품인 노칭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2차전지 및 반도체 검사용 장비 부품 개발∙생산 전문 기업 메가터치(대표이사 윤재홍)가 24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에 따른 향후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윤재홍 대표이사는 "고성장이 예상되는 2차전지 시장과 AI 기술 발달로 새로운 국면을 맞은 반도체 시장에서 당사 제품의 선도적 지위를 더욱 강화하고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겠다"면서 "2차전지 및 반도체 검사 공정 핵심 부품 시장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메가터치는 2차전지(배터리) 및 반도체(세미콘)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 부품인 각종 핀 개발·생산 기업으로, 2010년 설립됐다. 본사는 천안에 위치해 있으며, 최대주주는 반도체 및 OLED 검사장비 전문 기업 티에스이이다. 주요 사업 영역은 ▲2차전지 제조 공정 중 활성화 공정의 '충방전 핀' ▲반도체 테스트용 프로브 카드에 쓰이는 '인터포저(Interposer)' ▲반도체 테스트용 소켓에 쓰이는 '포고핀(Pogo Pin)'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을 이용한 매출 등이다. 메가터치의 지난해(2022년) 실적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전문기업 (주)위세아이텍(대표이사 김다산, 이제동)이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의 ‘머신러닝 AI 모델 개발 교육 플랫폼 구축 사업’에 착수한다고 24일 밝혔다. 본 사업은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의 로봇직업혁신센터에 AI 모델 개발 교육을 위한 ‘AutoML(자동화 머신러닝)’ 플랫폼을 구축해 인공지능 기반의 데이터 분석 및 활용 가능한 로봇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로봇직업혁신센터의 교육과정 운영 데이터와의 연동을 통한 AI 기반 교육 예측 시스템을 개발해 향후 필요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사전에 준비해 교육과정의 전문화를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위세아이텍은 로봇직업혁신센터 내에 자사 AutoML 플랫폼인 ‘와이즈프로핏(WiseProphet)’을 도입해 AI 활용 교육 플랫폼과 장비 이상 예측 교육 플랫폼, 교육 예측 시스템 등을 포함한 AutoML 플랫폼 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한국로봇융합연구원의 교육 내재화를 위해 체계적인 AI 교육 커리큘럼과 교육자료 등도 제공한다. 위세아이텍의 와이즈프로핏은 데이터 전처리부터 AI 알고리즘 선택, 예측 모델의 개발과 운영까지 AI 개발 프로세스를 자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AI 개인비서 서비스 에이닷의 아이폰 앱에서 ‘A. 전화’를 통해 통화녹음, 통화요약 등 새로운 기능을 제공한다고 24일 밝혔다. ‘A. 전화’는 음성통화에 집중되었던 기존의 전화 서비스와 달리 AI가 통화 내용의 맥락을 분석하고 통화유형과 요약까지 제공함으로써, 업무와 일상 등으로 관리의 영역을 확대한 새로운 전화 서비스이다. SKT 가입자는 24일부터 에이닷 아이폰 버전 업데이트로 앱 하단의 AI 전화 메뉴를 통해 ‘A.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HD Voice 통화가 가능한 가입자라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A. 전화’ 최초 이용 시 약관 동의를 통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한 사용자만 통화요약을 포함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다. 약관 동의 후부터 발생하는 음성통화는 ‘A. 전화’로 제공되며 에이닷 앱을 통해 발신/수신 시에 통화녹음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통화녹음은 자동녹음을 이용하거나, 녹음이 필요할 때 통화 화면에서 수동으로 켤 수 있다. 발신 시에는 에이닷 앱 내의 AI 전화 메뉴에 진입하여, 키패드로 직접 번호를 입력하거나 ‘A. 전화’ 홈에서 특정 통화 기록이나 연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KT(대표이사 김영섭)는 오는 24일부터 2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KES(한국전자전) 2023’에 참여,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KT는 ‘새로운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를 주제로, KT의 디지털 플랫폼을 중심으로 디바이스와 고객을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로 융합, 확장된 고객가치를 제시한다. 전시관 내부는 KT의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Data) 등 핵심 역량을 토대로 개인·소상공인·기업고객을 위한 디지털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어내는 모습을 체감할 수 있도록 방사형 공간으로 구성됐다. 중앙에 위치한 미디어월 기둥은 AI 인프라 도입을 통해 새로운 영역으로 뻗어나가는 모습을 구현하며 KT 초거대 AI ‘믿음’으로 변화할 AI 생태계의 모습과 AI ‘풀 스택(AI Full Stack)’의 경쟁력을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KT그룹이 보유한 방대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초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만나볼 수 있다. ‘기업을 위한 디지털 파트너’ 공간에서는 KT의 DX솔루션에 KT 초거대 AI ‘믿음’이 적용되었을 때 변화하는 모습을 경험할 수 있다. AI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자동차 종합 플랫폼 전문 도이치모터스는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조616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5% 늘어났다고 24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18억원, 66억원으로 각각 41.9%, 80% 감소했다. 회사 측은 “신차 판매 비즈니스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BMW 부문에서 5시리즈의 런아웃 영향으로 이익률이 축소돼 전반적인 이익 규모가 줄어든 상황”이라며, “주력 모델의 풀체인지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일 뿐, 6년 만의 5시리즈 풀체인지 및 프리미엄 SUV 모델인 X시리즈의 페이스리프트 효과까지 더해지면 단기간 내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이치모터스는 멀티 브랜드 전략에 따라 아우디를 취급하는 신규 법인 바이에른오토의 빠른 성장에 고무적인 분위기다. BMW와 MINI를 시작으로 도이치아우토의 포르쉐, 브리티시오토의 재규어, 랜드로버에 이어 올해 초부터 아우디의 수입 판매를 위해 설립된 바이에른오토는 초기 투자 비용에 따라 현재 손익 기여는 적지만, 전사적인 인프라 및 딜러십 노하우 지원으로 기대보다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며 제 모습을 갖추고 있다. 회사는 신차 판매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LG CNS는 생성형 AI로 기업 내부의 유용한 지식과 데이터를 찾는 ‘AI를 활용한 KM1) 혁신(Assetization2) with AI)’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전했다. ‘AI를 활용한 KM 혁신’은 사내 임직원들이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찾기 위해 채팅 창에 자연어로 질의하면, 생성형 AI가 사내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사람이 정해 놓은 시나리오 기준으로 답변하는 기존 AI 챗봇과는 다르게,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AI가 직접 답변을 생성할 수 있도록 고도화됐다. 임직원들은 업무 진행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 담당자를 찾거나 여러 사내 시스템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생성형 AI 검색으로 수 초 내에 답변을 얻을 수 있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을 통해 ‘AI를 활용한 KM 혁신’ 서비스에 ‘애저 오픈AI(Azure OpenAI)’의 GPT-4를 적용했다. 챗GPT는 포털 등 외부에 공개된 데이터만 학습한 LLM(Large Language Model)이다. ‘AI를 활용한 KM 혁신’에 적용된 챗GPT는 기업 내부 데이터 기반의 답변을 생성한다는 것이 차별점이다.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은 트럭 자율주행 스타트업인 마스오토(대표 박일수)와 AI 대형트럭 자율주행 고도화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T 본사에서 진행한 이번 협약식에는 SKT 정석근 글로벌/AI 테크 사업부장, 조상혁 AI 전략제휴 담당과 마스오토 박일수 대표, 노제경 부대표 등이 참석했다. 마스오토(Mars Auto)는 화물 운송용 트럭을 위한 AI 기반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자율주행 트럭 스타트업으로 지난 2017년 설립됐다. 마스오토는 ‘19년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 트럭 시험주행에 성공, 올해는 실제 자율주행 트럭을 이용한 화물 유상운송 사업을 시작하는 등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기업이다. 양사는 미들마일(기업 간 물류 이동)에서의 자율주행 화물운송에 필요한 주행 데이터 수집과 AI 분석을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고도화된 자율주행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마스오토의 자율주행 시스템인 ‘마스파일럿’은 트럭 전·후·측방에 설치된 카메라 7대가 도로나 사물 정보를 촬영하면 머신러닝이 이를 토대로 거리를 계산해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핵심이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기자] KT(대표이사 김영섭)는 프랑스 파리에서 24일부터 26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Network X 2023' 전시회에 참가해 차세대 인터넷 솔루션을 소개한다고 23일 밝혔다. ‘Network X 2023’은 전세계 300개 이상의 장비 및 칩셋 업체와 통신사가 참여하는 세계 최대의 통신 전시회다.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차세대 인터넷 고도화(엑세스망 지능화)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장비업체와 함께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KT는 파트너사와 공동 개발한 ▲지능형 관제 기반 초소형 OLT 및 멀티-기가 스위치 인프라 솔루션(다산네트웍솔루션즈) ▲와이파이 기반 구독형 스마트홈 솔루션(가온브로드밴드)을 비롯해 자체 개발한 ▲차세대 SDN 컨트롤러 솔루션 등을 선보인다. '초소형 OLT(광선로 종단장치)'는 통신국사와 빌딩의 구내 네트워크 환경 등에 최적화된 인프라 솔루션이다. 네트워크 장애를 탐지하는 기능이 적용돼 먼 거리의 통신국사에서도 빌딩 내 장비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 공간이 협소해도 설치가 용이해 빌딩 구내 네트워크 전체를 광케이블로 구축하거나 원거리 통신 환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