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제약



셀트리온, 첫 R&D 행사 개최…"신약 기업으로 도약 속도"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개최
ADC 신약 개발 현황 및 전략 공개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셀트리온이 지난 22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국내외 제약·바이오 담당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2025’를 개최했다.

25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셀트리온이 처음 마련한 행사다. 신약 개발 성과, 관련 전략 및 비전을 투자업계 종사자들과 공유한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첫 행사의 주제는 항체약물접합체(ADC)로 선정했다. ▲셀트리온 신약 개발 전략 ▲셀트리온 바이오베터 ADC 개발 전략 및 현황 ▲PBX-7016, 차세대 ADC 개발을 위한 새로운 캄토테신 페이로드(세포독성항암제) 등 총 6개의 개별 세션 발표와 연사 좌담 세션으로 구성됐다. 회사의 관련 기술 방향성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임상 로드맵을 제시했다.

첫 세션 발표를 맡은 셀트리온 권기성 연구개발부문장은 셀트리온의 신약 개발 전략과 중장기 계획을 소개하며 회사가 신약 개발 기업으로 본격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년 이상 회사가 축적해 온 항체 연구 및 생산 플랫폼을 기반으로 차세대 ADC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으며, 필요 시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을 통해 유망한 기술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이수영 신약연구본부장은 ADC 개발 전략과 현황을 주제로 파이프라인별 경쟁 현황과 차별화 전략을 발표했다. 현재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CT-P70’을 비롯해 ‘CT-P71’ ‘CT-P73’ 등 신약 핵심 파이프라인의 연구 성과 및 개발 속도를 공유했다.

 

이날 조명된 3종의 ADC 파이프라인 외에도, 이중 표적을 타깃할 수 있는 ‘이중특이적 ADC’와 페이로드 조합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듀얼 페이로드 ADC’의 순차적 개발 계획도 밝혔다.

현장에 참석한 현대차증권 여노래 책임매니저는 “시장에서 평소 궁금해하는 부분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셀트리온의 ADC 신약 개발 방향성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선 ADC 분야 권위자이자 프로파운드바이오(ProfoundBio) 공동창립자인 태한(Tae Han) 박사를 비롯해 셀트리온과 협업을 통해 공동 개발 중인 피노바이오의 정두영 대표, 우시 XDC 지미리(Jimmy Li) 대표, 현재 CT-P70 임상에 참여하고 있는 연세세브란스 조병철 폐암센터장의 발표도 이어졌다.

셀트리온 서진석 대표이사는 “오랜 기간 항체 분야에서 쌓아온 셀트리온의 자체 경험과 노하우에 더해, 협업을 통해 신약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