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제약



삼성바이오, '순수CDMO' 새출발…에피스홀딩스 '재상장'

삼성바이오로직스 변경상장 완료
CDMO 사업 집중…기업가치 제고
같은날 삼성에피스홀딩스 재상장
바이오시밀러·신약 개발 경쟁력↑

 

[파이낸셜데일리 이정수]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인적분할된 삼성에피스홀딩스가 24일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했다. 같은 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변경상장을 실시하고 거래를 재개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인적분할을 완료하고 변경상장을 실시, '순수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으로 새롭게 출발했다.

 

삼성바이오 인적분할은 CDMO 사업과 바이오시밀러·신약 사업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핵심 사업에 집중함으로써 기업 가치를 제고한다.

또한 그동안 일부 고객사로부터 제기됐던 이해상충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게 됐다. 그간 빅파마들은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를 개발하는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에 자회사 신약 레시피가 유출될지 모른다는 오해를 하곤 했다.

정이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CDMO와 바이오시밀러 사업 분리는 글로벌 고객사 신뢰도 제고와 신규 수주를 확대할 것"이라며 "삼성바이오에피스와 고객사의 바이오의약품 제품 포트폴리오 중복 우려 해소는 향후 바이오의약품 블록버스터 특허 만료 증가 시 수주 경쟁력 강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적정 가치를 96조6000억원, 삼성에피스홀딩스는 12조1000억원으로 산정하며,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상승 여력이 있는 반면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단기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바이오 투자 지주회사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중심으로 한 삼성바이오에피스와 바이오 기술 플랫폼 개발기업 에피스넥스랩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이번에 신설된 에피스넥스랩은 펩타이드 관련 요소기술 등 다양한 플랫폼 개발을 통해 신사업 육성에 전념할 예정이다. 플랫폼 기술을 토대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 개발 또는 기술 이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달 중국 바이오 기업 프론트라인 바이오파마와 ADC 분야 후보물질 2종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으로 구축된 안전적인 현금 창출 기반을 유지하며, 에피스넥스랩과의 연구개발(R&D) 시너지를 통해 신약 개발 영역을 확장하려는 전략이다.

정 연구원은 "현재 삼성바이오에피스는 ADC 후보물질에 대해 연내 임상시험계획(IND) 제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 방광암 적응증 대상으로 임상 1상 진입을 준비 중"이라며 "에피스넥스랩 역시 비만 치료제용 펩타이드 및 이중항체 ADC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며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미국 내 '생물보안법' 통과에 따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중장기적 반사 수혜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됐다.

미국 정부가 중국 바이오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를 축소하면, 국내 CDMO 기업들은 글로벌 빅파마의 생산 이전 및 신규 위탁생산 수요 확대의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다. 생물보안법은 미국 상원의 국방수권법(NDAA) 개정안에 포함돼 지난달 통과됐다.

이달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미국 내 중국계 공급망의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들이 보이고 있다"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부터 수주금액이 증가하며 그 수혜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