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은 웨어러블(Wearable) 기기에 대해 '비싸고 추가 구매 필요성이 없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LG경제연구원은 '스마트 워치, 여전히 존재의 이유가 필요하다'보고서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가 기술적인 진화를 거듭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외면하고 있다며 "존재 이유를 찾지 못할 경우 IT 액세사리로 전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웨어러블 기기를 만들어 내려는 기업들의 경쟁은 치열해 지고 있다.
애플은 애플워치를, LG전자 G워치, 삼성전자 기어S를 각각 선보였다. 여기에 신흥 스마트폰 업체인 샤오미도 스마트 워치를 출시했으며 태그호이어 등 시계 제조사도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구매를 위한 선택의 폭은 넓어졌고 기술력도 진화했지만 소비자들은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구매 의사는 낮았다.
미국의 리서치 조사 전문업체 TNS 조사 결과, 미국의 인터넷 사용자 55%가 웨어러블 기기에 대해 불필요하게 비싼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다.
또 24%는 이미 너무 많은 IT기기가 있어 추가적으로 웨어러블 기기를 구매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상황이다.
더욱이 웨어러블 기기를 구매한 소비자 가운데 3명 중 1명은 구매 후 6개월 이내에 사용을 중단했다.
보고서는 웨어러블 기기로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업체은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에 급급해 필요 이상의 많은 기능을 담으려고 한다고 지적했다.
또 스마트폰이 시계를 대체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계가 다시 스마트폰을 대체하려는 생각도 문제라고 설명했다.
신재욱 책임 연구원은 "그동안 웨어러블 기기는 '착용할 수 있다'는 점만 강조됐다"며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해야 하는 이유', 즉 존재할 이유를 찾아내야만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