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외제차 보험사기로 42억원 떼먹어

고의 교통사고 또는 차량 피해 금액 부풀려

#1. A씨는 자동차 사고로 자신의 BMW 스포츠 세단 휀더의 일부가 파손되는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그는 "휠·타이어·외장랩핑·서스펜션 등 고가의 사제튜닝 제품이 모두 파손됐다"며 1500만원 상당의 수리비를 부풀려 청구한 후 차액을 떼먹었다. A씨는 BMW 외 3종의 외제차량을 이용해 25회의 사고를 낸 후 보험금을 과다 청구하는 수법으로 1억2000만원을 챙겼다.

#2. 외제중고차 딜러인 B씨는 보유매물인 캐딜락, 아우디, BMW를 이용해 법규위반 차량 등을 대상으로 23건의 고의사고를 일으킨 후 수리비 차액을 5600만원이나 떼먹었다.

이처럼 고급 외제차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후 보험금 사기를 통해 총 42억원을 챙긴 30명의 외제차 소유자들이 금융감독원에 적발됐다.

금감원이 2011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외제차량 대물사고 등을 정밀 조사한 결과 총 687건의 보험사고로 사기 보험금 41억9000만원을 떼먹은 30명을 적발했다고 8일 밝혔다. 혐의자 1인당 평균 23건의 사고에 평균 1억4000만원의 보험금을 떼먹었다.

혐의자들은 인적피해가 없으면 사고조사가 느슨하다는 점을 악용해 가벼운 추돌 등 경미한 사고를 일으켰다. 사기보험금 41억9000만원중 차량수리비 등 대물보험금이 33억6000만원으로 80.5%를 차지했다. 치료비 등 대인보험금은 8억4000만원에 불과했다.

외제차는 국산차보다 수리비용이 매우 높아 차량 파손시 보험금을 주로 미수선수리비 형태로 미리 수령한 후 파손 차량을 수리하지 않거나 중소 수리업체에서 저가에 수리하면 그 차액으로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국산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험사기에 취약하다.

미수선수리비는 차량을 수리하지 않고 수리비, 부품교체비용 등을 추정해 그 추정가액을 수리비 명목으로 현금으로 수령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처럼 외제차 사기보험금의 차량수리비 총 33억6000만원 중 20억3000만원(60.5%)이 미수선수리비로 처리됐다. 이는 손해보험사 평균 미수선수리비 처리비율(8.8%) 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금감원 보험조사국 관계자는 "적발된 보험사기 혐의자를 수사기관에 통보한 후 수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고가의 외제차량 수리비 청구와 관련한 보험사기 등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상습적으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차량 소유자 등에 대해서는 보험사기 혐의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