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양호 조달청장은 10일 "드론 같은 기술 선도형 제품의 조달시장 진입을 촉진키 위해 공공혁신조달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정 청장은 이날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브리핑을 열고 "연간 55조원 규모의 공공구매력을 활용해 범정부적으로 추진 중인 경제혁신·고용창출 등 국정과제의 성과가 조기에 창출될 수 있도록 돕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 청장을 이를 위해 ▲신산업 성장환경 제공 ▲중소기업 경쟁력 향상 유도 ▲고용촉진 및 건전재정강화 ▲공정한 조달시장 조성 등 4대 분야에 걸친 10대 국정과제 지원계획을 제시했다.
지원계획에 따르면 공공부문이 드론·클라우드 등 미래 성장산업 제품을 선제적으로 구매해 민간의 신산업분야 트랙 레코드 쌓기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민간기업의 혁신적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을 유도하는 공공혁신조달(PPI) 제도가 도입되고 신산업제품의 우수조달물품 지정 등이 추진된다.
특히 조달청은 클라우드 스토어와 나라장터 연계 등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의 기술 선도형 신제품에 대한 시험무대(Test bed)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 청장은 "공공혁신조달은 공공기관의 요구에 대응해 민간기업의 혁신적 제품·서비스 개발을 유도하는 조달정책으로 기업의 미래형 혁신상품 개발 모티브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정부지원으로 개발된 R&D 제품이나 구매조건부 신제품의 우수조달물품 지정을 확대하면 신기술 개발작업이 활기를 얻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위한 조달 지원정책도 마련됐다.
정 청장은 "우수조달물품 지정 심사 때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을 우대하고 전기자동차에 대한 조달수수료를 인하하겠다"면서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여기에 조달청은 신·재생에너지 관련 조달기업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등록, 체계적인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산과 해외지원 확대를 위한 지원책도 선보였다.
정 청장은 "중소기업 공공시장 접근성 향상을 위해 국조실, 기재부, 행자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공공조달 혁신TF를 구성·운영해 입찰 관련 각종 규제를 개선할 예정"이라며 "입·낙찰 단계에서 활용중인 현행 20여개 인증의 비용 대비 기술·품질 견인 효과를 분석, 성과가 낮은 인증은 퇴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또 그는 "기술력이 우수한 5년 이내 창업초기기업을 '새싹기업'으로 지정, 9월부터 벤처기업전용쇼핑몰 등록을 허용하겠다"며 "창조경제혁신센터 입주기업에 대한 공공조달 진입 및 판로에 대한 컨설팅도 제공할 것"이라고 초기기업 성장지원방안을 소개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심사시 우대혜택을 받기 위해 각종 인증을 따왔으나 앞으로는 줄어든 인증만큼 인증획득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줄어들게 됐고 기술력이 강한 초기기업들의 판로가 크게 넓혀지게 됐다.
정 청장은 이와 함께 "고용친화적 기업, 가정과 일을 조화를 추구하는 기업 등에는 입찰시 우대할 것"이라면서 "이번 10대 과제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 관리카드를 작성, 진행상황을 챙길 것이고 관계부처와도 긴밀하게 협업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