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하반기 수출시장에서 엔고 등의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코트라(KOTRA)는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중국·미국·유럽 지역본부장과 런던·오사카·호치민 무역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코트라 수출시장 긴급진단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수출 확대 방안을 제시했다.
이들 해외 지역본부장과 무역관장들은 우리나라의 수출기업이 ▲브렉시트 수요위축 ▲미국의 통상압력 ▲중국의 시장구조 변화 등 3대 도전과제와 ▲일본 엔고 ▲미국의 소비재시장 확대 ▲중국·베트남 등 자유무역협정(FTA) 허브 등 3대 기회요인에 직면해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어 수출기회 확대를 위해서는 각 유망시장 및 품목별 맞춤형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날 오혁종 유럽지역본부장과 김윤태 런던무역관장은 영국의 EU 탈퇴가 완료되는 최소 2년 동안은 직접적 타격이 미미하더라도 상존하는 불확실성이 제거되지 않으면 유로화 가치 하락과 경제성장률 둔화는 피할 수 없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또 영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은 당장 파운드화 가치하락으로 수익성 악화의 영향에 접어들고 있으며 영국발 수요위축이 유럽 전체로 확산될 경우 영업활동에 큰 지장을 받을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영국 현지에 생산 공장을 둔 글로벌 기업의 유럽 거점전략 수정과 이에 따른 새 거래선 발굴 등으로 인해 자동차 및 항공기 부품, IT 융합제품 등에서 새로운 수출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했다.
북미와 일본지역은 경기회복 및 환율변동에 따른 기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종춘 북미지역본부장은 "소비 회복세가 지속되는 미국 시장에서 한국 프리미엄 소비재가 선전하고 있다"며 "기존의 소재부품과 더불어 대미수출을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11월 대선을 앞두고 수위가 높아지는 통상압력이나 우리 제품의 약한 브랜드인지도는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지적했다.
브렉시트의 영향으로 엔고를 맞이한 일본시장에서는 높아지는 가격경쟁력을 활용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광호 오사카무역관장은 "엔고를 활용해 증가세에 있는 온라인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동시에 기계부품, 전력기자재 분야도 유망시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과 베트남에 대해서는 FTA, 다자간 무역협정 등 무역자유화를 최대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광영 중국지역본부장은 "한·중 FTA 2년차를 맞아 현재 총수출의 6.5%인 소비재 비중을 높이고, 내륙 소비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유통채널 확보가 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박상협 호치민무역관장은 글로벌 생산전략을 활용한 대(對)베트남 수출확대와 한국 화장품·IT기기 등의 인기, 대형 유통기업 진출 등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김재홍 코트라 사장은 "하반기 이후에도 글로벌 시장은 불확실성이 상존하겠지만 기회요인도 적지 않다"며 "틈새시장 발굴과 기회시장 선점을 통해 중소·중견기업들의 수출이 늘어날 수 있도록 조기대응과 적기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