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네이버, 인공지능 중심 미래 기술 연구로 글로벌 시장 도전

네이버가 인공지능 중심의 미래 기술 연구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장을 던진다.

네이버는 24일 오전 코엑스에서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 2016'을 열고 인공지능, 자율주행, 음성번역, 스마트홈 등 미래 기술을 연구하는 조직을 별도 법인으로 만든다고 밝혔다. 별도법인 대표는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가 겸직한다.

​새롭게 구성될 법인은 이사회의 승인 절차를 거쳐 내년 초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설법인은 로봇을 연구하는 학문 '로보틱스'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증강현실, 생활환경지능 기반의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는 "생활환경지능(Ambient Intelligence) 기반의 융합 기술 개발을 위해 전담 조직을 독립시킬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 속도를 높이며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며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반 기술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네이버는 음성대화 시스템 '아미카', 자체 개발 웹브라우저 '웨일', 360도 카메라를 탑재한 로봇 'M1', 통역앱 '파파고' 등의 진척 상황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한편 올해 데뷰 행사는 이해진 의장의 인사말로 시작해 관심을 모았다. 이 의장은 '글로벌'과 '기술'을 네이버의 비전 키워드로 제시했다.

이 의장은 이 자리에서 최근의 네이버 이사회 개편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다만 이사회 개편의 주요 목적이 해외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취지임은 에둘러 비쳤다.

그는 "국경이 점점 무너져 글로벌 IT업계에서 진정한 기술 싸움이 벌어질 것이다. 구글과 페이스북 등 시가 총액이 크고 자금과 인력이 많은 기업들과 경쟁하려면 이를 지원할수 있는 기술은 굉장히 중요하다. 이제 아이디어가 아닌 탄탄한 기술력이 뒷받침되어야하는 시대"라며 "우리나라에서 좋은 스타트업과 기술들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 국내 스타트업의 기술 개발과 해외 진출에 네이버나 라인이 작게나마 힘이 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