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아주대 교수팀, 인간 생체시각 모사 인공지능형 메모리소자 개발

 

[파이낸셜데일리 김정호 기자]  아주대학교는 교내 연구팀이 인간 생체시각을 모사해 이미지를 저장하고 데이터 판별이 가능한 인공지능형 광전 메모리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개발은 서형탁 교수(신소재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연구팀이 성과를 일궜다.

연구 내용은 나노 분야 국제 학술지 'Nano Energy' 8월 27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아주대 쿠마 모히트 교수와 대학원 석사과정의 임재성 학생이 연구에 함께 참여했다.

논문은 ‘자립 전력 뇌 모사 시각 인지를 위한 고투명성 재정렬 비휘발성 멀티레벨 광전 메모리’ 제목으로 실렸다.

현재 수준의 기술에서는 광 센서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가 분리돼 있다. 또 광 신호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신호처리 소자도 별도로 필요하다.

이에 따라 지능형 폐쇄회로(CC)TV로 대표되는 고차원적 영상의 처리를 위해서는 복잡한 하드웨어의 구성이 필연적이다.

이러한 기술적 어려움을 타개하려면 궁극적으로 기존의 복잡한 회로를 대체할 수 있을 만큼 효과적이고 단순한 휴머노이드(인간의 형태를 모습으로 한 로봇) 광전자 회로 설계가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복잡한 회로를 단순화하려면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정보를 차별적으로 판별해 저장할 수 있는 신호처리 및 메모리 저장 기능이 통합돼야 한다.

아주대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비휘발성 메모리 기능과 지능형 광센서를 통합 구현하기 위해 고품질 이산화티타늄 산화물(TiO2)로 나노 필름(광센서)을 만들고, 그 위에 니켈과 니켈산화물(NiO)이 혼합된 코어셸 나노컬럼 구조 연결층(메모리)을 만들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니켈산화물 나노컬럼은 광전류에 의해 발생한 광전하를 안정적으로 포집하고 저장할 수 있어 인공지능형 비메모리의 역할을 하는 핵심 소재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주관 중견·기본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