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 MRO(점검·수리·개조 등 생산관련 서비스업) 산업 육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국내외 항공 MRO 산업의 최근 이슈'에 따르면 국내 항공 MRO 산업의 시장규모는 민수·군수 부문을 합쳐 2014년 기준 3조3400억원이다.
이는 같은 해 세계 민간 MRO 산업규모 577억 달러(약 70조원)의 5%도 채 되질 않는다.
국내 MRO 산업은 지난 2003년 2조5563억원보다 30.7% 성장했고, 향후 2020년이 되면 2014년 대비 27.2% 증가한 4조2500억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세계 민간 항공 MRO 시장 성장 전망치(50.4%), 중국 등 아시아 태평양지역 전망치(93.5%)와 비교하면 성장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항공 MRO 산업은 노동·지식 집약산업으로 타 산업 대비 높은 고용창출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첨단 엔지니어링 기술과 시설 장비가 투입되는 항공기 기체 중정비 분야는 전체 사업비에서 차지하는 인건비의 비중이 60%에 달하는 등 타 산업 대비 부가가치가 높다. 자동차(9.1%), 제조업(7.3%) 등과 비교하면 6~8배 이상이다.
산업연구원 안영수 선임연구위원은 "항공 MRO 산업은 타 산업 대비 고부가가치 중심의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한다"며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항공 MRO시장 진입을 통해 고용창출을 극대화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내 항공 MRO 시장도 저비용항공사(LCC)의 등장으로 여객기 보유 대수가 늘면서 민수 부문이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지만 여전히 군수 비중이 56.9%(2014년 기준)로 높은 상황이다.
또 대한항공을 제외한 아시아나항공, LCC 등은 물론 항공 MRO를 해외 기술·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데다, 군용 항공기마저 정비 부품 해외의존도가 68%에 달한다. 항공 MRO 산업의 수입대체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산업연구원은 국내 항공 MRO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군수 부문 MRO를 민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각 군이 군사작전의 효율성을 이유로 내부 중심의 정비 체제를 유지하다보니 민·군간 보유 시설의 중복, 우수인력 및 기술 활용 시너지 차단 등으로 산업경쟁력이 약화됐다는 것이다.
안 위원은 "군수부문 MRO는 부대 및 야전정비로 수행하고, 민군 공통 활용성이 높은 시설과 장비의 민간전환을 통해 항공 MRO 산업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처 간 업무 범위의 명확화 및 융합을 통한 범국가적 차원의 종합 항공 MRO산업 육성정책 수립이 시급한 과제"라며 "부처 간의 역할을 정비 소요시간·투자 시설 및 장비로 구분해 조정하고 부처별 분산된 시설·장비·인력을 범 국가적 차원에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