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소상공인연합회, '롯데' 사회적 책임 외면한 기업 몰표

소상공인들이 대기업 집단 중 사회적 책임 실천을 가장 못한 기업으로 '롯데'에 몰표를 줬다. 롯데 계열사들은 사회적 책임 실천 외에도 윤리경영실천, 소상공인 지원미흡 등으로 각 분야별 최악의 기업으로 꼽혔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11~18일 '동반성장 대기업 상생지수' 설문조사를 진행한 뒤 이 같은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전국 소상공인 2만203명이 참여했다.

이번 설문 조사는 삼성과 SK, KT, CJ 등 10개의 그룹형 기업과 삼성금융와 신한금융, 국민금융 등이 포함된 10개의 금융권 기업들을 대상으로 구분, 진행됐다.

설문조사 결과 사회적 실천을 가장 못한 그룹형 기업으로는 CJ(3%)와 롯데그룹(6%)이 뽑혔다. 금융 기업 중에는 롯데금융(2%)과 SC금융(2%)이 가장 사회적 실천을 못했다고 소상공인들은 선택했다.

가장 사회적 실천을 잘한 그룹형 기업으로는 삼성그룹이 29%의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LG(26%)와 KT(18%), SK(15%)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 기업의 경우 농협이 31% 지지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국민금융(24%)과 신한금융(18), 삼성금융(17%) 등 순이다.

윤리경영 실천 분야에서는 롯데(3%)와 신세계(6%)가 가장 낮은 지지율을 얻었다. 금융 기업중에서는 롯데금융(0%)와 SC금융(2%)이 자리 잡았다.

가장 윤리경영을 잘 실천했다고 소상공인들이 평가한 그룹형 기업은 LG 그룹으로 나타났다. LG 그룹은 30% 가장 많은 지지율을 얻었다. 삼성(26%)과 KT(17%), 현대(13%)가 뒤를 따랐다.

금융기업의 경우 신한금융(23%)가 NH금융(23%)을 근소한 차로 앞서면서 가장 많은 표를 기록했다. 국민금융(21%)과 삼성금융(18%)가 그 뒤를 따랐다.

소상공인들에 대한 지원을 가장 못한 그룹형 기업에도 롯데는 이름을 올렸다. 롯데는 4%의 지지율로 최하위를 차지했으며 한화는 5%의 지지율을 얻었다. 금융 기업에는 롯데금융(1%)과 한화금융(2%)이 하위권을 형성했다.

지원을 가장 잘해왔다고 평가를 받은 기업은 KT로 조사됐다. KT는 23%로 가장 많은 득표를 했다. 뒤를 이어 삼성(19%)과 LG(17%), SK(16%)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의 경우 KEB하나금융(2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NH금융(24%)와 국민금융(19%), 신한금융(16%) 순으로 순위가 매겨졌다.

이외에도 소상공인들과의 친근도를 평가하는 항목에서 삼성이 1위를 차지했다. 소통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는 SK 그룹이 가장 높은 득표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기업에서는 각각 국민금융, 삼성금융이 친근도와 소통분야 1위를 차지했다.

소상공인연합회 최승재 회장은 "이번 설문조사 대상은 소상공인의 날 행사에 참여한 2만여명의 소상공인들"이라며 "대기업들은 현재 소상공인들의 의견을 잘 수렴해서 결과에 대한 책임을 느끼고, 동반성장할 수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소상공인연합회는 오는 29일 '2016년 소상공인의 날 성과보고회 및 초정대상'에서 각 부문별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에는 별도의 시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