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우조선해양, 7,000억원대 대형 적자

 대우조선해양이 지난해는 물론 2013년과 2014년에도 각 7000억원대 대형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조선은 애초 5조5051억원으로 집계했던 지난해 영업손실을 2조9372억원으로 정정한다고 25일 공시했다.

나머지 2조4000억원대 손실은 각각 2013년과 2014년 재무제표에 나눠 반영됐다. 지난 2013년과 2014년 4409억원, 4711억원이던 영업이익은 7784억원, 7429억원의 영업손실로 각각 변경됐다.

이는 외부감사인인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이 최근 감사를 통해 "지난해 실현·반영된 손실 중 일부를 2013·2014년 회계에 반영해야 한다"고 대우조선 측에 권고했던 영향이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5월 정성립 사장 취임 후 해양플랜트 등 전 사업 부문에서 잠재된 부실을 찾아내 모두 회계에 반영했다.

그 결과 누적 손실이 5조5051억원까지 불었다. 그러나 딜로이트 안진 측은 노르웨이 송가프로젝트 손실 및 장기매출채권 충당금 등이 재무제표에 제때 기록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대우조선은 이번 재무제표 정정과 관련, "외부감사인의 최근 요구에 따라 수정사항을 반영한 것이고, 이를 통해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일로 개인 및 기관 투자자들의 손해배상 청구가 줄을 이을 전망이다. 대우조선은 지난 2014년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경쟁사들이 적자를 토해내기 시작할 때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했는데, 이 부분이 당시 투자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1주당 3만원을 넘었던 대우조선 주가는 이날 종가 기준 5180원까지 떨어졌다.

외부감사를 맡았던 딜로이트 안진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 회사는 지난 2013년과 2014년에도 대우조선의 회계감사를 맡았지만, 당시에는 아무런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

대우조선 부실이 본격화되며 최근 금융당국이 부실감사 심사에 나서자 징계 수위를 낮추기 위해 뒤늦게 재무제표 재작성을 권고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