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정부, 우리금융 지분 2% 매각한 이유…"시장충격 방지"

정책 신뢰 확보·우호적 시장 여건 고려
시장 충격과 물량 흡수력 따져 2%로 결정

 

[파이낸셜데일리 송지수 기자]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가 매각 주관사들과 함께 우리금융 지분 2%를 현시점에서 매각하기로 한 이유는 로드맵을 더 늦출 수 없다는 정책적 판단과 조금이나마 우호적으로 변한 시장 여건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시장 충격 방지와 물량 흡수력을 따져, 2%가 최적의 매각 지분 비율이라고 판단했다.

11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공자위는 예금보험공사의 우리금융 지분(17.25%)을 매각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가 현시점이라고 판단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우리금융의 주가가 폭락해 매각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다. 2019년 말까지만 해도 1만1000원대를 유지했던 주가가 지난해 초 코로나가 터지면서 6200원대까지 내려앉았다.

특히 지난해는 정부의 실물경제 지원 기조에 따라 은행의 재무적 부담이 가중되는 시기였다. 배당을 제한하고 손실흡수능력 제고를 위해 자기자본을 더 쌓아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우리금융 주가는 올 들어 9000원 중·후반대에 머물다가 지난달 초부터 1만원대를 돌파했다. 사실상 코로나 사태가 발생하기 전의 주가로 회복했다.

무엇보다 정부는 투명하고 정확한 정책 이행을 위해 기존에 마련한 '우리금융 민영화 로드맵'을 지연할 수 없다고 봤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정부는 우리금융의 신속한 매각·금융산업 발전·공적자금 상환 극대화라는 기본 원칙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현재 시장 여건이 기본 원칙에 부합하는지를 따졌다"고 말했다.

아울러 올 초에는 코로나 외에도 미국 대선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있었는데, 바이든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이러한 우려도 사라졌다.

공자위와 주관사가 매각 비율을 2%로 정한 이유는 시장 충격 방지와 흡수력을 모두 고려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물량이 너무 많으면 시장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며 "가격이 높아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공적자금 회수 가능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대로 너무 물량이 적으면 우리금융에 대한 부정적인 시그널이 될 수 있다"며 "이 모든 걸 다 고려해 2%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앞으로 처분해야 할 우리금융 잔여지분이 15.25% 남았다는 점에서, 로드맵 기한인 다음해까지 매각을 완료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당국 관계자는 "로드맵을 준수한다는 정부의 방침은 변함이 없다"며 "아직 시간은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우리금융의 최대 주주는 예보다. 정부는 외환위기 이후 금융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공적자금을 투입했고, 예보가 우리금융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

정부는 2019년 우리금융 완전 민영화를 위해 로드맵을 마련했고, 다음해까지 지분을 모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