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금리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아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다는 시각이다.
18일 연준의 기준금리 동결은 중국과 신흥국 경제의 불안으로 세계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점을 가장 크게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미 연내 미국의 금리 인상이 예상됐던 상황에서 이번 동결 조치가 국내외 경제에 큰 호재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10월 인상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금리 인상 시점과 속도, 폭 등에 대한 불확실성만 커졌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미국이 금리 인상을) 했으면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됐을 수 있는 데 (금리 동결로) 오히려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신흥국 금융 불안이 당분간 진정될 수는 있겠지만 어차피 미국의 금리는 오르게 될테니 실물 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이 몇 달 연기되는 것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이번 미국의 금리 동결로 크게 진정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배민근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지금은 브라질과 러시아가 안 좋은 상황에서 중국까지 가세하면서 세계 경제의 판도가 심상치 않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신흥국 경제의 불안정한 성장구조와 외환시장의 불안은 단시일 내에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배 위원은 "지금 분위기로 보면 (미국이 금리를) 12월에는 올린다는 쪽으로 가고 있는데, 그러면 지금과 똑같은 상황이 되는 것"이라며 "2~3개월 동안 신흥국 경제가 드라마틱하게 좋아져서 반전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준의 금리 동결이 국내외 시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진성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경제연구실장은 "이미 시장에서는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주가가 오르고 환율이 약세를 보이는 등 먼저 반응해왔다"며 "선반영된 부분이 있는 만큼 긍정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히려 금리 인상이 지연되면서 미국 내 자산 시장 버블 등 부작용을 우려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자산 가격은 버블이 생길 수록 붕괴에 따른 파괴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김 실장은 "미국의 제로금리 수준이 상당 기간 지속됐던 점을 감안할 때 이미 정상화가 시작됐어야 하는데 세계 경기 등 외부적인 여건에 따라 늦어진 것"이라며 "빠르게 조정하지 못하면 그것에 따른 부작용도 생긴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재 우리 경제가 미국의 금리 인상과 신흥국 경기 둔화 등 대외 충격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펀더멘탈(기초체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신흥국 불안이 국제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경우 우리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중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태스크포스(TF)를 신흥국 전반을 대상으로 확대 개편된다. 신흥국 경제 성장과 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경험을 감안, 외화 유동성 관리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가산금리, 차환율 등 차입 여건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금융회사들이 보수적으로 외화 유동성을 관리하도록 지도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