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비정규직, LG유플 가장 높아...전자·통신업계 '예의주시'

삼성전자·LG전자, 매년 축소해 1% 수준에 머물러 "민간기업 확산될 경우 경영 유연성 떨어진다" 우려도비정규직비율 22.5%인 LG유플 "직무차이가 있다" 해명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축소' 정책에 재계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가운데 전자·통신업계도 향후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의 직접적인 압박은 없지만 공공분야를 넘어 민간기업으로 비정규직 축소 방침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만 전자·통신업계는 자동차 및 조선·철강 등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이 적은 편이라는 점에서 부담이 심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업계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대거 이뤄질 경우 기업 경영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신규채용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전자업계 관계자는 "사실 비정규직 비율이 많은 편은 아니다. 그나마 있는 비정규직도 법무팀이나 의료팀 등이 포함돼있어 비정규직이라고 하기 어렵다"면서 "정부 정책은 비정규직 차별 완화 측면이므로 기업과의 논의 등을 통해 최선의 방안을 도출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시대' 정책과 관련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민간으로까지 확산하기를 기대한다"고 천명한바 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말 기준 전체 9만3200명 중 688명인 0.74%만 기간제 근로자였다. 기간제근로자 비율은 2014년 2.88%에서 2015년 1.29%로 낮아지면서 3년동안 줄어들고 있다. LG전자 역시 지난해 전체 3만7909명에서 기간제근로자는 511명으로 1.35%를 차지했다. 2014년 1.13%에서 2015년 1.15% 수준으로 매년 1%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업종에 따라 상황은 다르겠지만 전자업계는 비정규직 규모가 적은 편에 속한다"면서 "협력사들 같은 경우 대부분 정규직 채용을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민간기업에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압박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 기업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인건비의 부담 등이 예상된다"며 "극단적인 경우 인건비 절감을 위한 신규 채용 위축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 긴장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동통신업계도 비교적 비정규직 규모가 적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과 KT 비정규직 비율은 각각 3.5%, 2.5%로 비교적 낮았다.

KT관계자는 "운전기사나 임원 비서 등 특수 직군을 제외하면 콜센터 직원까지 대부분 정규직"이라며 "당사는 정규직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고 해당 정책이 당사에 큰 영향이 있는 부분이 아니라고 볼 수 있어서 현재 계획이나 별도 입장을 말씀 드릴 사항은 없다"고 전했다.

다만 LG유플러스의 경우, 전 직원의 22.5%에 해당하는 1905명이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전체직원이 2.7배나 많은 KT의 경우, 비정규직 인원이 594명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정부가 비정규직 임금 75%까지 올린다는 방침에 대해선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애초에 직무차이가 있다. 사내 변호사의 경우 비정규직임에도 정규직 사원보다 2배 이상 많이 받기도 한다"며 "임금은 시장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SK브로드밴드는 지난 3월말 인터넷, IPTV 개통과 AS 업무를 담당하는 설치·수리기사 1000여명을 홈고객센터 정규직으로 채용하기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